총 7만3004 개사 대상 평가...2위 현대건설, 3위 대우건설 순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삼성물산이 2014년부터 11년 연속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1위에 올랐다.
국토교통부는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등록된 전국 건설업체 중 평가를 신청한 업체를 대상으로 ‘2024년도 시공능력평가’를 실시해 결과를 31일 공개했다.
‘시공능력평가’는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건설 공사실적과 경영상태, 기술능력 및 신인도를 종합평가 하는 제도다.
올해 시공능력평가를 신청하여 평가받은 건설업체는 총 7만3004개사다. 이는 전체 건설업체 8만5642개사의 85.2%에 해당한다.
올해 시공능력평가 결과, 삼성물산은 평가액 31조8536억원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위를 차지했다.
현대건설은 17조9436억원으로 2위, 대우건설이 11조7087억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이어 현대엔지니어링 9조9809억원, DL이앤씨 9조4921억원, GS건설 9조1556억원, 포스코이앤씨 9조1125억원, 롯데건설 6조4699억원, SK에코플랜트 5조3711억원, HDC현대산업개발 5조1272억원 순으로 4~10위에 올랐다.
한화는 4조9673억원으로 11위, 지난해 10위였던 호반건설은 12위를 차지했다.
종합건설업종별로 지난해 공사실적의 주요 순위를 살펴보면, 토목건축은 삼성물산(13조6000억원), 현대건설(10조5000억원), 대우건설(8조8000억원) 순이다.
토목 분야에선 대우건설(2조3000억원), 삼성물산(1조6000억원), 현대건설(1조5000억원) 순이며, 건축의 경우 삼성물산(12조1000억원), 현대건설(9조원), 현대엔지니어링 (7조5000억원) 순이다.
산업·환경설비에 있어서는 삼성이앤에이(8조6000억원), 두산에너빌리티(3조6000억원), 현대엔지니어링(3조1000억원), 조경 분야에선 삼성물산(863억원), 제일건설(843억원), 대정골프엔지니어링(389억원) 순이다.
주요 공사종류별로는 도로의 경우, 대우건설, GS건설, 포스코이앤씨 순이며, 아파트의 경우 GS건설, 현대건설, 대우건설 순이다.
한편, 올해 시공능력평가 결과는 8월 1일부터 적용 되며, 공사발주 시 입찰자격 제한 및 시공사 선정 등에 활용되고 그 외 신용평가, 보증심사 등에도 활용 된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여의도에서 30분' 분당급 신도시 '김포한강2', 2030년 첫 분양...4만6000가구 공급
- 올 상반기 서울 15억 이상 아파트 매매비중 20% 넘어...통계 작성 이후 처음
- 정부, 주택공급 획기적으로 확대…모든 정책 총동원
- 정부, 인허가 지연 없애 민간 주택공급 확대 돕는다
- 악성 미분양, 1만3000가구...3년8개월 만에 최대
- 두산에너빌리티, 루마니아 원자력규제기관 인증 획득...원전 사업 참여 가속화
- 삼성물산, 도곡 삼호아파트 재건축 ‘래미안 레벤투스’ 2일 견본주택 개관
- 롯데건설‧SK에코플랜트, 울산 ‘라엘에스’ 완판
- 대우건설, 반도체 산단 직주근접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견본주택 2일 개관
- “아파트 라이프도 자연과” GS건설 자이, 멸종위기 동물보호 캠페인 진행
- HDC현대산업개발, 외국인 근로자 대상 안전교육‧비상대피훈련 시행
- 롯데건설, ‘계양 롯데캐슬 파크시티 1단지’ 2일 견본주택 개관
- DL이앤씨, 대구 명덕지구 재개발사업 ‘e편한세상 명덕역 퍼스트마크‘ 9월 분양 예정
- 대우건설, 행당7구역 재개발 ‘라체르보 푸르지오 써밋’ 8월 말 분양
- DL이앤씨, 소외 계층 위한 ‘사랑의 빵 만들기’...“지역 상생 위해 다양한 활동 진행”
- 삼성물산 래미안갤러리는 ‘진화 중’...대형 미디어아트‧건축스쿨 등 공개
- 포스코, 단순 반복 수작업 이젠 ‘RPA’가 맡는다...‘생산성‧효율성’ 다 잡아
- 삼성물산 ‘래미안 레벤투스’, 1순위 청약에 2만9000여명 몰렸다
- 삼성 EPC 3사, 산·학·연 상생 협력의 장 ‘2024 콘테크 공모전 개최’
- "주차장을 따로 만들어야 하나" '전기차 화재' 불똥 튄 건설업계…건축비 인상 등 악재에 고심
- “외벽 커튼월 유리공사 품질관리 주의사항 알려줘~” 포스코이앤씨, 생성형 AI 기술 기반 건설지식 사내 DB 서비스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