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7조 6000억원 증가…기업 대출도 7개월 연속 증가세
부동산 거래 회복 영향…은행권 “대출금리 줄인상 효과, 시차 두고 반영”

KB국민·NH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가나다 순)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월 말 기준 715조 7383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시내에 설치된 주요 은행들의 현금인출기 부스. [사진=연합뉴스]
KB국민·NH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가나다 순)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월 말 기준 715조 7383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시내에 설치된 주요 은행들의 현금인출기 부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지난달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주택 거래 회복과 대출 규제 막차 수요 증가 영향으로 3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NH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가나다 순)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월 말 기준 715조 7383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6월 말(708조 5723억원)과 비교했을 때 불과 한 달 사이에 7조 1660억원이 늘었다.

가계대출은 넉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지난 2021년 4월(+9조 2266억원) 이후 3년 3개월 만에 월간 증가 폭이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7조 5975억원 증가했으며, 신용대출은 1713억원 감소했다.

최근 주요 은행들이 금융당국 압박에 따라 가계대출 금리를 연이어 상향 조정했지만, 부동산 경기 회복에 따라 급증하는 대출 수요를 억제하지 못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세에 대해 “부동산 거래 회복이 가장 큰 이유로 보이며, 주담대 규제 강화를 앞두고 막차 수요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은행들이 대출 증가 속도 조절 관련 대책을 내놓았지만, 7월에 신청한 고객에게 적용되는 사항이기 때문에 정책 효과는 시차를 두고 조금씩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기업 대출은 올해 1월 이후 7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7월 말 기준 5대 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818조 2285억원으로 6월(811조 3482억원)보다 6조 8803억원 불었다. 중소기업과 대기업 대출이 각각 656조 1554억원, 162조 731억원 증가했다.

또 5대 은행의 정기예금은 지난달 18조 1879억원 늘었으며, 정기적금은 1조 1227억원 증가했다.

이와 반면에 대기성 자금인 요구불예금은 29조 1395억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