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 지난 1분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휩쓴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분기 글로벌 반도체 시장 매출 1위를 기록했고, SK하이닉스는 같은 기간 매출 증가율 1위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전자는 이 기간 전년대비 78.8% 증가한 148억7300만달러(한화 약 20조2987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인텔(121억3900만달러), SK하이닉스(90억7400만달러), 마이크론(58억2400만달러) 등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IDC에 따르면 해당기간 삼성전자와 인텔,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3사의 매출은 상위 10개 종합반도체 기업(IDM) 매출의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했다.

전년대비 증가율로만 보면 SK하이닉스가 144.3%를 기록하며 상위 10개 업체 중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3월 최초로 미국 엔비디아에 5세대 HBM인 HBM3E 8단 제품을 납품하기 시작했다.

또한 후속 제품인 HBM3E 12단 제품은 이미 주요 고객사들에 샘플 공급을 마쳤으며, 이번 분기 양산을 시작해 4분기부터 고객에게 공급을 시작할 예정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달 25일 2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HBM3E 공급을 빠르게 확대해 작년에 비해 약 300%의 HBM 매출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HBM3E 8단·12단 제품도 현재 엔비디아 퀄(품질)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31일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HBM3E 8단 제품을 3분기 내 양산해 공급을 본격화하고 12단 제품도 하반기에 공급할 예정이라며 향후 계획을 공식화하기도 했다.

또한 로이터는 최근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삼성전자의 HBM3E 8단이 엔비디아의 퀄리티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는 "양사가 아직 공급 계약을 체결하진 않았지만 곧 계약을 체결할 것"이라며 "오는 4분기부터 공급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IDC는 "데이터센터와 디바이스 시장에서 AI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메모리는 하반기에도 IDM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동력으로 남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