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메시징 서비스에 대한 직접적 관리 강화…업계 자정 노력 기대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SK텔레콤이 불법 스팸 차단 노력을 지속해 안전한 통신 서비스 이용 환경을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SK텔레콤은 불법 스팸 문자로 인한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사 차원의 전담 테스크포스(TF)를 신설하고 다양한 고강도 조치를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자체적인 불법 스팸 억제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지속 마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우선 송수신 문자에 대해 필터링 정책 업데이트 시간을 종전 1일 1회에서 10분당 1회로 단축하고, 불법 스팸 발송번호 등록기준을 보다 엄격하게 하는 등 필터링 기준을 대폭 강화했다.
또한, 지난달부터 자사 본인인증 서비스 앱인 PASS에 제공중인 ‘PASS 스팸 필터링’ 서비스 기능 강화 및 확산에도 본격 나선다.
‘PASS 스팸필터링’은 불법 스팸 문자를 감시하고 걸러주는 기본 기능에 ‘키워드 추천’, ‘미끼 문자 인공지능(AI)탐지 알림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 휴대전화 사용자의 동의를 통해 통신사 자체 필터링 대비 더욱 심도 있는 스팸 필터링이 가능하다.
‘키워드 추천’은 경찰이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에 신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불법 스팸 메시지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키워드를 추출해 고객에게 제시하고, 고객이 관련 스팸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미끼 문자 AI탐지 알림 서비스’는 지인이나 금융기관 등을 사칭해 날로 교묘해지고 있는 피싱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이를 유도하는 미끼 문자를 탐지하고 고객에게 알람을 주는 등 한 단계 진화한 스팸∙스미싱 차단 서비스를 제공한다.
TF는 앞으로 불법 스팸을 감지하고 차단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지속 고도화하고 사이버 범죄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이통3사간 공조 체계를 마련해 불법 스팸 분류 기준과 각사의 스팸 차단 솔루션을 상호 벤치마킹하는 등 적극적 협력을 통해 사후 대응을 강화하고 불법 스팸 문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직접 문자 중계 사업을 하지 않고 있는 SKT는 이번 TF 출범에 맞춰 문자 중계사가 과도한 불법 스팸 문자를 발송할 경우 발송을 직접 제한하는 등 관리 강화에 나선다.
SKT는 이번 정책이 불법 스팸 문자를 발송하는 일부 중계사들에 강력한 경고가 될 것이며, 문자 중계 업계가 자정 노력을 기울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손영규 SKT 정보보호 담당은 “SKT는 향후 지속적인 불법 스팸 차단 노력을 통해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안전한 통신 서비스 이용 환경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통신3사, 추석 연휴 특별 소통대책 마련 ‘동분서주’
- SKT-SPC그룹, AI 기반 서비스 협력 맞손...‘AI 대전환’ 성공사례 만든다
- 통신3사, 기지국 안전시설물 구축 ‘한 마음’...“중대재해 감축 적극 동참”
- SKT,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자금 운용 지원...1260억원 규모 조기 지급
- SK텔레콤 '티딜', AI 엄선 '추석 특집관' 운영..."명절 선물 부담 완화 앞장"
- SK텔레콤, AI 동시 통역 솔루션 '트랜스 토커' 확대 가속화...부산교통공사·신한은행 등과 '맞손'
- SKT, ‘iPhone 16’ 대표고객은 20~30대...‘Pro’ 모델 가장 인기
- "이래도 안 멈춰?"...'스미싱 칼 빼든' KISA, 국민피해대응단 신설로 피싱 '강력 대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