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 토커, 관광객·유학생 등 외국어 통·번역...총 13개 언어 지원
부산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에서 상용화...편리한 여행 환경 제공
외국인 유학생 증가한 영남대, 상담 시각화 추진하는 신한은행과도 계약
![SK텔레콤이 인공지능(AI) 동시 통역 솔루션 '트랜스 토커' 고객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진은 울시 성동구 소재 신한은행 한양대학교 지점에서 외국인이 ‘트랜스 토커’를 활용해 직원과 상담하고 있는 모습. [SK텔레콤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9/231118_127878_427.jpg)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SK텔레콤이 인공지능(AI) 동시 통역 솔루션 '트랜스 토커' 고객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SK텔레콤은 부산교통공사, 영남대학교, 신한은행과 '트랜스 토커'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서비스 상용화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앞서 지난 4월 '트랜스 토커'를 출시했다. 트랜스 토커는 한국어를 비롯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 스페인어 등 총 13개 언어를 지원한다.
외국인 관광객이 투명 스크린 앞에 설치된 마이크에 본인의 언어로 질문하면 한국어로 번역된 문장이 안내데스크 담당자 스크린에 표시된다.
이후 담당자가 한국어로 답변하면 이 내용이 실시간으로 관광객 언어로 변환돼 모니터에 나타난다.
SK텔레콤은 부산교통공사와 함께 부산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에 '트랜스 토커'를 설치하고 이날부터 부산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편리한 여행 환경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부산교통공사는 외국인 관광객이 보다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대면으로 트랜스 토커를 운영한다. 관광객 이동이 많은 위치에 트랜스 토커를 설치해 역 고객센터 방문 없이 통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SK텔레콤은 영남대학교와도 손을 잡고 지난 7월부터 AI 동시 통역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영남대학교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지속 증가함에 따라 언어 장벽을 해소하고, 행정 서비스를 보다 강화하기 위해 트랜스 토커를 도입했다.
아울러 신한은행과는 지난 8월부터 트랜스 토커 서비스 협업을 시작했다.
신한은행은 트랜스 토커의 스크린 자막을 통해 외국인 고객은 물론 청각 장애인이나 시니어 고객이 금융업무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창구 직원의 상담 내용이 한국어로도 스크린에 표시되는 것을 활용해 금융 서비스의 질을 높인 것이다.
이를 위해 신한은행은 시니어 고객 방문이 많은 ‘신림동 지점’과 외국인 유학생이 자주 찾는 ‘한양대학교 지점’에서 AI 동시 통역 서비스를 운영하고, 향후 서비스 도입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경덕 SK텔레콤 엔터프라이즈 사업부장은 “이번 공급 계약 확대는 13개 언어 지원, 실시간 통역 등 트랜스 토커의 장점을 고객들이 높게 평가해 준 결과”라며 “앞으로도 AI와 결합된 다양한 기업용(B2B) 상품을 개발해 고객들에게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스팸 대응 전사 TF 출범한 SKT, 불법 스팸 강력 퇴치
- 통신3사, 추석 연휴 특별 소통대책 마련 ‘동분서주’
- SKT-SPC그룹, AI 기반 서비스 협력 맞손...‘AI 대전환’ 성공사례 만든다
- 최태원 SK 회장, “AI∙반도체∙에너지솔루션 등 경쟁 치열...촉 세우고 대응”
- "AI로 뭐하니" 물음에...삼성SDS "업무 초자동화", SKT "검색엔진 혁신"
- SKT,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자금 운용 지원...1260억원 규모 조기 지급
- SK,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납품 대금 3272억원 조기 지급
- "무슨 AI 프로그램 쓰세요?"...대학생·주부·기자들의 '생성형 AI' 활용법 '각양각색'
- SKT, ‘iPhone 16’ 대표고객은 20~30대...‘Pro’ 모델 가장 인기
- SK텔레콤, '리딩 라이트 어워즈' 우수 AI 활용 사례 선정...온디바이스 AI 기술력 입증
- SK텔레콤, 퇴직 프로그램 가동...위로금 1인당 "최대 3억원"
- SK텔레콤, 민간 최대 규모 AI 서밋 개최...최태원 회장, 그렉 브로크만 오픈AI 사장 등 참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