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기록장치와 교통사고 조사절차에 대한 오해와 편견 바로잡기 기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12일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를 개최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한국수입자동차협회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9/231195_127975_1458.png)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자동차 업계가 국민들의 급발진 의심 사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향후 사고 예방에 더욱 정진할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팔을 걷어 올렸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12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 룸에서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를 개최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의도치 않은 급가속 현상이 인명사고로 이어져 사회적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이에 따라 국민들의 급발진 의심 사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번 설명회가 제동장치의 작동 원리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사고기록장치와 교통사고 조사절차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는 인식 개선 활동이 되어 향후 급발진 의심 사고 예방에 더욱 힘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현재 자동차업계는 국민이 불안감을 해소하고 더욱 안전하게 탈수 있는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 운전자 실수 방지 목적의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비상자동제동장치 등 신기술을 개발하고 신속하게 적용하고 있다.
오는 11월 국제기준 제정을 목표로 논의 중인 페달오조작 방지장치는 미리 선 적용해 소형전기차에 장착 출시했고, 비상자동제동장치의 경우 현재 승용·승합·화물 등 모든 자동차에 설치가 의무화돼 있다.
또 감지 대상을 차량뿐 아니라 보행자, 자전거 등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으로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이날 개최된 설명회에서 최영석 원주한라대학교 교수는 ‘사고기록장치(EDR)’, 이호근 대덕대학교 교수는 ‘브레이크 시스템’, 박성지 대전보건대학교 교수는 ‘급발진 의심사고 분석절차’, 조민제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은 ‘경찰청의 공학적 교통사고 조사 및 사례’를 주제로 발표했다.
최영석 원주한라대학교 교수는 “사고기록장치(EDR)는 교통사고를 분석하는 주요 도구로서, 해외 및 국내에서 사고기록장치에 대한 신뢰성은 수만 건 이상의 사고 분석의 결과를 통해 검증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EDR 데이터 분석도를 높이기 위해 저장하는 데이터 항목을 추가하는 기준 개정 추진 중”이라며 “최신 차량은 각종 제어 장치로 인해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운전자 오조작 가능성이 높아져 이를 방지하기 위한 오조작 방지 장치 기술 개발 혹은 운전자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호근대덕대학교 교수는 “자동차의 제동력은 차량 중량 및 속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보다 더 크게 설계돼 있다”며 “브레이크 오버라이드 기능을 통해 제동 신호와 가속 신호를 동시에 보낼 때, 제동 신호를 우선하게 돼 있어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자동차는 무조건 속도가 감소 및 정차한다”고 강조했다.
박성지 대전보건대 교수는 “급발진 의심 현상은 가속케이블 고착, 플로어매트 간섭, 엔진오일의 흡기 유입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며 “급발진 의심 현상은 운전 경력과 무관하게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은 인간의 실수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조민제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은 “경찰청은 2017년부터 ‘교통사고 공학분석’이라는 업무 프로세스를 교통사고 조사·분석에 도입했다”라며 “경찰에 접수된 사건을 중심으로 EDR 분석과 차량 충돌 시뮬레이션 분석, 영상분석, 거짓말 탐지기 분석을 시행해교통사고의 실체적 원인을 밝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모든 교통사고는 경찰로 접수되고 해당 사건 중 급발진 등 사회적 이슈가 있거나 대형 사고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도로교통공단으로 이관되어 더욱 정밀한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쏘렌토‧싼타페 아성 넘어라...중견 자동차 업계 신형 ‘SUV’로 도전장
- “모빌리티 산업, 실질적 도움 위해 힘껏 노력”...제22대 국회 모빌리티포럼 출범
- 민·관,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육성 위해 머리 맞댄다
- “위기의 전기차 산업, 극복 위해선 소비자 인식개선‧지원정책 확대해야”
- H₂ MEET 조직위, 글로벌 수소 분야 혁신 기술 발굴 'H₂ 이노베이션 어워드' 개최
- KAMA, ‘제21회 자동차의 날’...자동차산업 발전 유공자 포상 등 행사
- KAIA “전기차 산업, 사실에 기반한 신뢰 확보 중요”
- 자동차업계 “자율주행 본궤도 진입 위해 정부의 신속한 정책 지원 필요”
- KAMA,한국로봇산업협회 맞손...산업 간 융합‧협력 확대 나선다
- KAMA, 내년 자동차산업 내수 1.3% 늘고 수출 –3.1% 감소
- 자동차 업계, 올해 친환경차 대거 쏟아낸다...전기차‧하이브리드 등 출격 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