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17일 기준 상장사 114곳,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참여
기업의 주주환원 확대 분위기에 긍정적 평가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된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2/240116_138548_1224.jpg)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금융당국이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 참여 기업에 대한 세제지원 방안을 계속 추진해나갈 전망이다.
21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JP모건 코리아 콘퍼런스에 참석해 국내외 기관투자자 20개사를 대상으로 투자설명회(IR)를 열고,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한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의 주요 추진 방향에 관해 설명했다.
김 부위원장은 “이달 17일 기준 상장기업 114곳이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에 참여하고 있다”며 “밸류업 우수기업 표창과 인센티브 제공, 세제지원 방안 등을 일관되게 추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1년 전 발표한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을 흔들림 없이 추진 중”이라며 “밸류업 상장지수펀드(ETF)·상장지수증권(ETN) 상장도 이뤄지면서 기업의 주주환원이 점차 늘어나는 모습을 보이는 등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2월 임시국회에서 주주환원 확대기업 법인세 세액공제,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 밸류업 세제 지원을 위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이 신속히 논의될 수 있도록 국회와 소통을 이어나가고 있다.
김 부위원장은 “불공정거래에 대해서는 금융투자상품 거래 제한과 임원 선임 제한 등 다양한 제재 수단을 도입하는 등 더욱 엄정히 대응해 자본시장 신뢰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공매도 전산시스템 의무화, 공매도 목적 대차거래의 상환기간 제한 등이 법제화된 상황”이라며 “시스템 구축 등 후속 조처를 통해 오는 3월 31일부터 공매도 제도개선을 차질 없이 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김 부위원장은 ▲투자자 거래 편의를 높이기 위해 내달 대체거래소(ATS) 출범 ▲6월 파생상품 자체 야간시장 개장 ▲3분기 비상장주식 플랫폼 인가제 도입 등 자본시장 유통플랫폼의 다변화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그는 “물적분할, 내부자거래, 자사주, 배당과 관련해 주주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제도개선이 시행됐다”며 “국회의 의무 공개매수제도 도입, 합병·분할 시 주주 보호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 논의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부위원장은 오는 28일 모건스탠리 주관 해외 기관투자자 대상 IR에도 참석해 자본시장 관련 주요정책을 설명하고, 투자자들과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