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톈진·여수 화치공장, '폐기물매립제로' 인증 획득
여수시 등 민관협력 앞장...폐플라스틱 재활용 적극 추진
![LG화학 로고. [사진=LG화학]](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2/240126_138569_236.jpg)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LG화학이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국제 인증을 추가했다.
LG화학은 중국 톈진공장과 여수 화치공장에서 글로벌 안전규격 인증기관 'UL Solutions'의 폐기물 매립 제로(ZWTL) 인증을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LG화학 중국 톈진공장은 사업장 폐기물 재활용률 100%를 달성해 UL이 부여하는 최상위 등급인 ‘플래티넘’ 등급을 받았다.
여수 화치공장은 재활용률 96%를 달성해 ‘골드’ 등급을 받았다. 플래티넘의 경우 2022년 중국 취저우, 2023년 광저우에 이어서 3년 연속으로 이룬 결과다.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은 기업의 자원재활용 노력을 평가하는 제도로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재활용하는 비율에 따라 실버(재활용률 90∼94%), 골드(95∼99%), 플래티넘(100%) 등급을 부여한다.
LG화학 톈진공장은 제조과정에서 사용 후 버려지는 목재 및 플라스틱 용기를 전량 재활용으로 전환해 지난해 검증기간 내 발생한 폐기물 약 450톤 가운데 93%를 재활용하고 매립율을 제로화(0%)하는데 성공했다.
여수 화치공장은 통상적으로 소각되는 폐수 침전물 약 1만300톤을 재활용으로 전환했다.
향후 공장 가동에 필요한 에너지 열원도 폐목재 등의 바이오매스 연료로 전환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전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일환으로 ‘폐기물 배출 및 재활용’을 중점 과제로 추진해 2022년 국내 석유화학 업계 최초로 폐기물 매립 제로(ZWTL) 인증 취득했다.
현재까지 인증 사업장을 이번 인증을 포함해 총 6곳으로 확대했다.
LG화학은 여수시, 한국환경공단 등과 민관협력 업무협약을 맺고 2026년까지 사업장 내 폐플라스틱 재활용 활동에도 적극 앞장서고 있다.
그 일환으로 LG화학의 제품·원료를 담는 포장백을 소비자 사용 후 재활용된(PCR) 소재로 교체하는 작업이 지속 추진되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탄소 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과제들을 수행해 전사업장에 대한 폐기물 재활용률을 지속 높이고 관련 인증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고려아연- LG화학, 2차전지소재 협력 본궤도...KPC, 전구체 양산 본격 돌입
- [신년사]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철저한 변화와 과감한 도전 필요한 시점...실행력 강화에 집중"
- LG화학, 세계 최초 친환경 ASA 주방가구 개발...한샘과 맞손
- LG화학, HL만도와 차세대 전장 부품 접착제 개발 나선다
- LG화학, 14만평 해양 생태계 복원 '앞장'...'블루카본' 잘피 서식지 확장
- [인터배터리2025] LG화학, 국내 최초 '전구체 프리 양극재' 양산...전지소재 시장 공략 가속화
- [LG화학 주주총회] 신학철 부회장 "3대 신성장 동력에 선택과 집중...현금 흐름 개선하겠다"
- 장기불황에 빠진 위기의 석유화학업계, 비핵심사업 정리등 체질개선 안간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