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스카본과 맞손 잡고 여수 앞바다 복원 진행
2023년 이어 지난해 11월에 잘피 2만주 이식

여수 대경도 인근에서 잘피를 심는 LG화학 임직원들 모습. [사진=LG화학]
여수 대경도 인근에서 잘피를 심는 LG화학 임직원들 모습. [사진=LG화학]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LG화학이 땡스카본과 함께 여수 앞바다 대경도 해양 생태계 복원에 앞장서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양사는 국내 민간 기업 최초로 시작한 바다 숲 '블루카본' 잘피 서식지 복원 및 연구사업 2차년도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앞서 양사는 2023년 10월 전남 여수 앞바다 대경도 인근에 잘피 5만주를 이식한 데 이어 지난해 11월에 2만주를 추가 이식했다.

‘잘피’는 바다 속에서 꽃을 피우는 해초류로 맹그로브 숲, 염습지 등과 함께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가 공식 인증한 3대 해양 탄소흡수원인 ‘블루카본’ 중 하나이다. 

‘블루카본(Blue Carbon)’은 바다와 습지 등 해양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로, 육상의 탄소흡수원인 그린카본(Green Carbon)보다 탄소흡수 속도가 50배 더 빠르고, 탄소 저장 능력도 5배 이상 높아, 바다로 3면이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는 더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앞서 1차년도 모니터링 결과 잘피 이식지에서 98종의 대형저서동물이 발견됐고, 2차년도 모니터링 에서는 추가 이식 지역에서 32종의 대형저서동물이 관찰되어 생물다양성이 증가됨을 확인했다. 

잘피 서식지는 초기 활착 이후 안정적인 생육 상태를 유지하며, 2차년도에는 면적이 44.092헥타르(약 13만3378평)에서 46.146헥타르(약 13만9591평)로 약 2헥타르 증가했다. 

LG화학과 땡스카본의 잘피서식지 성과 그래프. [사진=LG화학]
LG화학과 땡스카본의 잘피서식지 성과 그래프. [사진=LG화학]

1차년도부터의 총 증가면적은 3.436헥타르(약 1만평)로, 이는 축구장 약 4개 크기에 해당한다.

 이식된 잘피는 안정적으로 활착 후 지속적으로 군락지를 확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잘피 퇴적층까지 고려하면 최소 연간 1000~1700톤 탄소흡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영준 LG화학 CSR팀  책임은 "1차년도에 이어 2차년도 결과에서도 잘피 서식지가 해양 생태계 회복과 기후변화 대응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잘피의 탄소흡수 능력이 육상 생태계보다 최대 50배 이상 높다는 점에서 블루카본의 잠재력이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 생태계 변화 분석과 장기적 복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