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멀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마련

현신균 LG CNS 사장(오른쪽)과 김재식 미래에셋생명 회장이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사진=LG CNS]
현신균 LG CNS 사장(오른쪽)과 김재식 미래에셋생명 회장이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사진=LG CNS]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LG CNS가 미래에셋생명보험의 AI(인공지능)전환에 나서며 금융권 AI·클라우드 사업을 가속화한다. 

LG CNS는 최근 미래에셋생명 본사에서 차세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MOU를 통해 LG CNS는 생성형AI 플랫폼 구축,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구현 등  미래에셋생명의 AX(AI전환)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사업 규모는 약 1300억원으로 향후 약 2년에 걸쳐 진행된다.

LG CNS는 보험상품개발, 보험계약, 입출금 등 주요업무를 비롯해 회계, 영업관리 등 업무 시스템 전반의 개편과 고도화를 추진하며 임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먼저 생성형 AI플랫폼 구축을 위해서는 미래에셋생명이 보유한 데이터를 LLM(거대언어모델)에 학습시켜 임직원들이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더 빠르고 손쉽게 찾아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가령 임직원들이 업무 중 궁금한 점이 생겼을 때, 여러 사내 시스템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AI 에게 질문만 하면 사내 지식 기반 최적화된 답변을 얻을 수 있다. 이 플랫폼을 고객상담에도 적용해 고객 응대 품질도 높일 계획이다.

특히 LG CNS가 보유한 멀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은  고객 개인 정보를 다루는 미래에셋생명의 업무 보안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에셋생명은 데이터의 보안이 중요한 업무는 내부 시스템에서 처리하되 다른 서비스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해 유연하고 효율적인 클라우드 환경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금융규제 완화 등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할 수도 있다.

LG CNS는 상품개발, 보험계약, 입출금 등 보험 주요업무와 회계, 영업관리 등 미래에셋생명의 업무 시스템 전반도 전면 개편해 비즈니스 경쟁력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LG CNS 관계자는 “그간 축적한 금융 IT 역량을 통해 미래에셋생명이 AI 기반의 차세대 시스템으로 비즈니스를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이번 협력으로 AI 연구개발 등 AX 분야에서 포괄적인 협력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