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1000명 설문, 2, 3위는 일자리 문제·주거비 부담 꼽아
![소비자 물가지수 추이. [사진=한경협]](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5/245188_144681_1129.jpg)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6명은 민생 최우선 과제로 물가 안정을 꼽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서 일자리 문제와 고용불안, 주거비 상승 등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민생 과제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대책 설문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한경협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 따르면 국민 과반인 53.5%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고물가와 생활비 부담 증가를 꼽았다.
이어서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 및 전월세 부담 증가(10.0%) ▲경기 둔화 및 내수 위축(7.2%) ▲소득 정체 및 실질임금 감소(6.8%) 등이 지적됐다.
한경협은 최근 들어 소비자물가가 2% 의 안정세를 유지하고는 있으나 누적기준으로 보면 고물가는 장기화되는 국면이라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수준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국민들이 가장 바라는 민생회복 과제 역시 물가 안정이 60.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등의 순이었다.
조사결과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물가 안정은 56.3%(30대)~64.9%(50대)의 응답비율로 모든 연령대가 민생회복 1순위 과제로 꼽았다.
물가 안정을 제외할 경우, 20대 이하(23.0%)와 50대(19.3%)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높았고 30대에서는 주거 안정(16.9%)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16.9%)의 응답 비중이 타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경협 관계자는 "신규취업이나 재취업 수요가 큰 20대와 50대의 의견이 반영됐을 것"이라면서 "30대의 경우 결혼 후 주택구입 시기인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할 정책에 대해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이 가장 많이 지적됐다. 공공요금(전기·가스·수도)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 및 수입 물가 안정(17.2%)은 다음으로 높았다.
민생회복 2순위 과제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우선 정책과제로는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라는 응답(31.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첨단산업과 신성장 동력 분야 일자리 창출(21.0%), 노동시장 개혁과 근로환경 개선(20.6%),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고용 확대(20.0%) 순이었다.
민생회복 3순위 과제인 주거 안정을 위한 우선 정책과제로는 주택공급 확대 ·부동산 시장 안정의 응답 비율(36.3%)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전·월세 가격 안정과 세입자 보호 강화(27.4%), 주거 취약계층 지원 확대(16.1%), 주택금융 ·세제지원 확대(13.2%) 순으로 나타났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한경협 국제경영원, 다음달 '2025 AI 혁신포럼’ 개최
- 한중일 제조기업 "美 관세 정책으로 내년 매출 4~7% 감소 불가피"...미 투자 확대보다 원가·비용 절감 고삐
- 한경협 "대기업 투자, 최저한세율 1%p 낮아지면 1.7 조원 증가"
- 한경협 "소비자 10명 중 7명, ESG 앞장서는 착한기업에 돈 더 쓴다"
- 증권주 “대선에서 누가 되든 오른다”…실적호조, 거래량 증가 등 각종 호재에 신고가 행진
- "대선 후보들 모두 경제최우선"...재계, 내수활성화, 관세대응, 신성장 세 과제 제시
- 경제계 "이재명 대통령, 경제 재도약 이끌어달라" 신성장동력 발굴·규제 개혁 촉구
- 이 대통령 “라면 한개 2000원 진짜냐” 발언에 라면업계 ‘긴장’…가격 조정할까
- 올해 상반기 물가, 2% 넘게 뛰었다…수산·축산물 물가지수 ‘껑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