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말 기준 예금은행 가계대출, 5조2000억원 증가
3단계 스트레스DSR 시행 앞두고, 선(先)수요 발생
7~8월까지는 가계대출 증가세 이어질 듯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4월 말보다 5조2000억원 많은 1155조3000억원이었다. 서울의 한 시중은행 앞에 대출 상품 관련 홍보 입간판이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4월 말보다 5조2000억원 많은 1155조3000억원이었다. 서울의 한 시중은행 앞에 대출 상품 관련 홍보 입간판이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연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함께 7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를 앞두고 선(先)수요까지 겹치면서 예금은행 가계대출이 5조원 넘게 불었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4월 말보다 5조2000억원 많은 1155조3000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5월 증가 폭은 4월(+4조7000억원)보다 많고, 지난해 9월(+5조6000억원) 이후 8개월 만에 최대 수준이다.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918조원)이 4조2000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236조3천억원)이 1조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박민철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슈 등으로 2~3월 중 크게 늘어난 주택 거래의 영향이 5월 가계대출에 집중됐다”고 말했다.

아울러 “가정의달과 관련이 있는 계절적 자금 수요가 맞물리면서 신용대출도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3단계 스트레스DSR 규제 강화에 대해 “5~6월 중 약간의 선수요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며 “6월의 경우 분기 말 매·상각이 있어 기술적으로 가계대출 숫자가 높게 나오지 않을 수는 있다”고 언급했다.

박 차장은 7~8월까지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금리 인하 기조로 늘어난 시중 유동성이 주택 가격 상승 기대를 부추기거나, 가계부채 증가세를 자극하지 않도록 경계하면서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공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6조원 증가했다.

증가 폭은 4월(+5조3000억원)보다 많았고, 지난해 10월(+6조500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은행(+5조2000억원)이 증가세에 큰 영향을 끼쳤고, 2금융권에서도 4월(+5000억원)보다 많은 8000억원이 늘어났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사이 5조6000억원 증가하면서 4월(+4조8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신용대출도 8000억원 불었지만, 4월(+1조2000억원)보다는 증가 폭이 감소했다.

지난달 은행의 기업 대출은 8조원(잔액 1346조6000억원) 증가했다. 증가 폭은 4월(+14조4000억원)보다 줄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중소기업 대출이 각각 5조4000억원, 2조6000억원 불었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주요 은행들의 대출 영업 확대, 일부 대기업 일시 운전자금 조달, 중소기업 정책성 대출 공급 등의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했다.

수신(예금)은 지난달 예금은행에 20조2000억원(잔액 2432조7000억원)이 유입됐다.

정기예금이 대출 확대에 따른 은행의 예수금 조달 확대와 지방자치단체 자금 일시 예치 등으로 19조2000억원 증가했다. 수시입출식예금도 지방자치단체 재정집행 예정 자금 예치 등에 7조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머니마켓펀드(MMF·+8조1000억원)와 채권형펀드(+10조2000억원)를 중심으로 25조2000억원 불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