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둔화에도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 통해 실적 '선방'
매출액, 5조1309억원...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
당기순이익, 2867억원...같은 기간 대비 38.3% 줄어

[사진=삼성SDI/뉴스퀘스트 편집]
[사진=삼성SDI/뉴스퀘스트 편집]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삼성SDI가 글로벌 전기차 시장 둔화 속에도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1분기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삼성SDI는 30일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5조1309억원, 2674억원이라고 밝혔다. 같은 기간 당기 순이익은 2867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4.2% 영업이익은 28.8% 줄었다. 당기 순이익도 38.3% 감소했다.

삼성SDI 측은 "쉽지 않은 경영환경 속에서도 P5 각형 전지의 견조한 판매와 미주향 신규 P6의 공급 개시 등으로 수익성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사업부별로 보면 전지 부문 매출은 4조5818억원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145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32% 줄었다.

자동차 전지는 프리미엄 차량에 탑재되는 P5의 견조한 판매와 미주향 P6의 공급 개시 등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 및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수익 인식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지는 비수기 영향 등으로 매출 및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했다. 소형 전지도 매출이 줄었으나 파우치형 전지를 중심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원형 전지는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한 고객의 재고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으나 전동공구는 장기 공급 계약을 기반으로 전분기 수준의 매출과 수익성을 유지했다.

파우치형 전지는 주요 고객의 신규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호조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하며 소형전지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삼성SDI는 2분기 전망에 대해 "중대형 전지는 점진적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소형 전지는 수익성 확보와 함께 신규 수요 발굴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전자재료 부문은 시장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 사장은 "불확실성이 높은 경영 환경에서도 초격차 기술경쟁력 확보,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변화와 혁신을 통해 2030년 글로벌 탑 티어 회사 달성을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