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심사에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4가지 적합성 판단 기준 적용
녹색자금의 선순환 구조 구축…녹색산업·녹색 투자시장 활성화 유도
![신한은행은 국내 기업의 저탄소·녹색 전환을 지원하고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기반 녹색금융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녹색분류체계 적용 기업대출 프로세스’를 도입했다고 27일 밝혔다. [신한은행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5/224214_119146_3839.jpg)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신한은행이 국내 기업의 저탄소·녹색 전환을 지원하고,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기반 녹색금융 공급 활성화를 추진한다.
27일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녹색분류체계 적용 기업대출 프로세스’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는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등 6대 환경목표에 기여하는 녹색경제활동을 정의한 것으로 녹색경제활동에 자금이 유입될 수 있도록 환경부 차원에서 명확한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다.
지난해부터 신한은행은 녹색분류체계를 적용한 기업대출 프로세스를 도입하기 위해 업무기준을 정립하고 관련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올해 상반기 녹색분류체계에 부합하는 대기업 대출에 대한 파일럿 운영을 거쳐 일련의 프로세스를 전산화했다. 이후 적용 대상을 확대해 녹색금융 공급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해당 프로세스에 따르면 영업점에서 기업의 저탄소·녹색 전환을 위한 10억원 이상 기업대출을 신청할 경우 본점 ESG 담당부서에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따라 4가지 적합성 판단 기준(활동·인정·배제·보호)에 맞춰 별도의 심사 과정을 진행한다.
그 결과, 적합성을 충족한 기업대출에 대해서는 금리우대 등 각종 혜택을 제공한다.
신한은행은 녹색금융 수요 발굴을 비롯해 마케팅, 녹색금융 심사·성과 공개 등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신재생에너지·기후테크 육성을 강화해 녹색금융 선도은행의 입지를 확고히 할 계획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의 4가지 적합성 판단기준을 금융에 접목시키고 진정성 있는 녹색경제활동 촉진을 위해 이번 프로세스를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우리 사회가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행해 국제사회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국내 녹색금융 표준 제시와 녹색자금 선순환 구조 구축으로 녹색금융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신한은행은 2022년 국내 최초로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에 성공한 후 매년 환경부 주관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