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텍 최신 플래그십 모바일AP '디멘시티'에 검증 완료…고성능 제품 상용화 선도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 삼성전자가 대만 반도체 설계 기업인 미디어텍(MediaTek)과 업계 최고 속도인 10.7Gbps(초당 기가바이트) LPDDR5X(Low Power Double Data Rate 5X) D램 동작 검증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미디어텍과의 이번 동작 검증을 통해 저전력∙고성능 D램 시장에서의 기술 리더십을 확고히 했다. D램은 주 기억 장치로 사용되는 반도체 메모리 유형 중 하나다.
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미디어텍 최신 플래그십 모바일AP '디멘시티(Dimensity) 9400'에 LPDDR5X 기반 16GB 패키지 제품 검증을 완료하고 고성능 모바일 D램 상용화에 앞장선다.
삼성전자가 지난 4월 개발한 10.7Gbps LPDDR5X는 이전 세대 대비 동작 속도와 소비 전력을 25% 이상 개선한 제품이다.
저전력∙고성능 특성이 요구되는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 시대에 최적인 제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번 제품을 통해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에서 배터리를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서버나 클라우드에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뛰어난 성능의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미디어텍 수석 부사장 JC 수(JC Hsu)는 "삼성전자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미디어텍의 차세대 고성능 프로세서인 디멘시티에 삼성전자의 고성능 10.7Gbps LPDDR5X를 탑재해 업계 최초로 동작 검증에 성공했다"며 "앞으로 사용자는 최신 칩셋을 탑재한 기기를 통해 배터리 성능을 최대화하고, 더 많은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배용철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실 부사장은 "업계 최고 속도 LPDDR5X D램의 동작을 검증하고, AI시대에 맞춤형 솔루션임을 입증했다"며 "고객과 유기적인 협력으로 향후 온디바이스 AI 시대에 걸맞은 솔루션을 제공해 AI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 말했다.
삼성전자는 향후 모바일 분야뿐만 아니라 ▲AI 가속기 ▲서버 ▲고성능컴퓨팅(HPC) ▲오토모티브 등 LPDDR D램 응용처를 적극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삼성은 ‘북미’, LG는 ‘유럽’서 ‘HAVC’ 시장 선점 ‘총력전’...“미래 먹거리로 낙점”
- 삼성전자 '타이젠' 운영체제, 유럽 명품 TV 로에베 '스텔라'에 탑재
- 삼성전자,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AI폰 전략 '톡톡'
- [빅데이터로 읽는 이슈] 뜨거운 관심 속 출시된 첫 폴더블 AI폰...'디자인', '성능'에 주목
- “배송까지 단 하루”...삼성전자, 국내 최초 갤럭시 Z 폴드6·Z 플립6 '드론 배송 서비스' 시행
- '반도체 영업익 6조원' 삼성전자의 남은 숙제...아픈 손 '시스템 반도체' 경쟁력 회복
- 삼성전자 ‘이동형 로봇용 안전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IEC 61508·ISO 13849' 인증 동시 획득...국내 최초 사례
- 삼성전자, 英 지식 그래프 기술 스타트업 인수...“다양한 AI 기술 혁신 지속 선보일 것”
- 삼성전자, 제2의 HBM 'CXL' 기술 선도..."AI시대 차세대 솔루션 제시"
- 삼성전자, 저전력 LPDDR5X D램 양산 시작..."온디바이스 AI칩 기술 경쟁력 확보 "
- 삼성전자, 퀄컴과 차량용 반도체 분야 첫 협력...LPDDR4X 제품 공급 시작
- 삼성전자, 업계 최초 12나노급 '24Gb GDDR7 D램' 개발...고용량∙고성능 그래픽 D램 시장 선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