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솔루션 등 주요 계열사 팀장까지 RSU 확대
1116명 중 976명(88%) 기존 팀장 수당 대신 리더인센티브(RSU) 제도 선택
가득 기간 3년 설정…임직원 주인의식 고취, 주주가치 제고 ‘선순환’ 기대

한화그룹 본사. [사진=연합뉴스]
한화그룹 본사. [한화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한화 주요 계열사가 책임경영 및 주주가치 제고 보상 제도로 알려진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리더인센티브) 확대 시행에 나서고 있다.

한화는 그룹 대표이사와 임원들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RSU 제도를 주요 계열사 팀장까지 적용한다고 18일 밝혔다.

앞서 지난 2020년 국내 상장사 가운데 처음으로 RSU 제도를 도입한 지 4년만이다. 

RSU는 연말연초에 현금으로 주는 기존 성과급 제도와 달리 일정 기간이 지나면 주식을 주는 장기 성과보상 제도다. 무상으로 주식(자사주)을 부여하되 일정 기간 재직 등 조건을 충족해야 귀속되도록 설계됐다. 

먼저 ㈜한화를 비롯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한화솔루션 등 총 5개 계열사의 팀장 1116명이 RSU 제도를 선택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 운영 중인 RSU와는 일부 차이점이 있다. 

임원 RSU의 경우 성과급을 폐지하고 RSU를 부여하고 있지만, 팀장은 기존에 받고 있는 팀장 수당 대신 ‘리더인센티브’라는 새로운 RSU 제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팀장들도 임원들과 같이 장기적 관점을 가지고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전략 실행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발적 동참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가득 기간도 기존 5~10년 보다는 짧은 3년으로 설정했으며, 부여액의 50%는 주식, 50%는 주가연동현금으로 지급되는 건 임원 RSU 제도와 동일하다. 

‘RSU’ 제도는 희망자에 한해서만 시행하는 선택형으로 운영된다. 

현금으로 지급되는 기존 팀장 수당을 그대로 받을지, 아니면 미래 회사 가치 상승에 따라 기대 금액이 달라지는 RSU를 받을지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가령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팀장이 'RSU'를 선택하고 내년 1월에 RSU를 부여 받으면, 3년 후인 2028년 1월에 주식(50%)과 주가연동현금(50%)을 지급받게 된다. 

한화는 지난 6월 중순, 해당 계열사 별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리더 인센티브(RSU)” 제도에 대한 설명회를 진행했고, 7월 초 전환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했다. 

시행 대상 5개 계열사 팀장 1116명 중 976명, 약 88%가 기존 팀장 수당 대신 RSU를 선택했다. 

당장의 현금보상 보다 회사의 미래가치에 따라 보상 수준이 달라질 수 있는 RSU를 88%나 선택한 것은 회사의 성장과 발전에 동참하겠다는 주인의식과 미래 가치 상승에 대한 긍정적 전망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RSU 제도는  단기 실적을 만들어놓고 고액의 성과급을 받은 뒤 회사를 떠나는 ‘도덕적 해이’ 등을 방지하기 위해, 2000년대 초 미국에서 처음 도입된 RSU 제도는 이제 ‘글로벌 스탠더드’ 보상 제도로 자리 잡았다.

한화를 포함해 국내외 유수의 기업들이 RSU를 도입해 현재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화는 RSU 확대 시행을 계기로 임직원들이 책임경영과 회사의 장기적 발전에 전념하도록 독려하는 한편, 주주 가치 제고에도 더욱 힘쓸 예정이다. 

손명수 한화 인재경영원 상무는 “임원이 아닌 팀장급 직원들에게 확대되는 RSU 제도는 직원들이 주인의식을 가지고 회사의 미래가치 성장과 발전에 몰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목적으로 설계 되었다”며 “많은 팀장들이 스스로 선택한 만큼, 회사는 팀장들의 솔선수범과 주인의식을 토대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