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DR7, 이전 세대 대비 동작속도 60%, 전력효율 50% 향상
풀HD 영화 300편 분량 데이터 1초만에 처리...3분기 양산 시작

SK하이닉스가 업계 최고 성능이 구현된 차세대 그래픽 메모리 제품 'GDDR7'을 공개했다. [SK하이닉스 제공=뉴스퀘스트]
SK하이닉스가 업계 최고 성능이 구현된 차세대 그래픽 메모리 제품 'GDDR7'을 공개했다. [SK하이닉스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SK하이닉스가 업계 최고 성능이 구현된 차세대 그래픽 메모리 제품 'GDDR7'을 공개했다.

오는 3분기 중 양산이 시작될 제품은 인공지능(AI), 고성능 컴퓨팅(HPC), 자율주행 등에 사용될 예정으로 알려졌다.

30일 SK하이닉스에 따르면, GDDR7은 이전 세대보다 동작속도가 60% 이상 빠른 32Gbps(초당 32기가비트)로 구현됐고, 사용 환경에 따라 최대 40Gbps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GDDR은 GPU(그래픽 처리 장치)를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메모리다.

GPU가 처리하는 이미지, 비디오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GPU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공급해 GPU의 연산 속도를 높이는데 쓰인다.

특히, 게임 및 그래픽 작업 분야에서는 GDDR의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성능이 필수적으로 자리잡고 있다. 

SK하이닉스가 업계 최고 성능이 구현된 차세대 그래픽 메모리 제품 'GDDR7'을 공개했다. [SK하이닉스 제공=뉴스퀘스트]
SK하이닉스가 업계 최고 성능이 구현된 차세대 그래픽 메모리 제품 'GDDR7'을 공개했다. [SK하이닉스 제공=뉴스퀘스트]

SK하이닉스의 GDDR7에는 최신 그래픽카드에 탑재돼 초당 1.5TB(테라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는 풀HD급 영화(5GB 기준) 300편 분량의 데이터를 1초만에 처리하는 수준이다. 

또한 전력 효율은 이전 세대 대비 50% 이상 향상됐다. SK하이닉스는 제품 개발 과정에서 초고속 데이터 처리에 따른 발열 문제를 해결하는 신규 패키징 기술을 도입했다.

제품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패키지에 적용하는 방열기판을 4개 층에서 6개 층으로 늘리고, 패키징 소재로 고방열 EMC(에폭시 몰딩 화합물)를 적용했다. 제품의 열 저항은 이전 세대보다 74% 줄었다는 것이 SK하이닉스의 설명이다.

이상권 SK하이닉스 부사장(DRAM PP&E 담당)은 "압도적인 속도와 전력 효율로 현존 그래픽 메모리 중 최고 성능을 갖춘 SK하이닉스의 GDDR7은 고사양 3D 그래픽은 물론, AI, 고성능 컴퓨팅(HPC), 자율주행까지 활용 범위가 확대될 것"이라며 "현존 최고 성능의 GDDR7을 3월 개발 완료한 후 이번에 공개했고, 3분기 중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