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세계 최초 스트레처블 OLED 공개 후 기술 리더십 재확인
31.5형 UHD QD-OLED 전시로 화질 자신감...올해의 디스플레이 대상
![삼성디스플레이 직원들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살펴보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8/229752_126141_332.jpg)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평면 디스플레이를 3차원의 제주도 모양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공개하며 차별화된 기술력을 소개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23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24회 국제 정보 디스플레이 학술대회(IMID)'에 참가했다고 21일 밝혔다.
IMID는 매년 국내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디스플레이 학술대회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고무처럼 늘어나는 고행사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는 마이크로LED 기술이 적용됐으며 업계 최고 해상도 및 연신율(늘어나는 비율)을 갖췄다. 연신율은 최대 25%이며, 해상도는 게이밍 모니터 수준인 120PPI(1인치당 픽셀 수)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필요에 따라 평면의 화면을 3차원으로 돌출시켜 버튼처럼 활용하거나 옷이나 가구처럼 불규칙한 표면에 적용해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 직원이 평면에서 3차원의 제주도 모양으로 변형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살펴보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8/229752_126142_3314.jpg)
이번 전시에서는 3차원으로 표현해낸 제주도 지형과 사계절을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에 담았다.
아울러 삼성디스플레이는 퀀텀닷을 이용한 QD-LED, 업계 최초 1만2000니트 초고휘도(빛의 밝기)를 구현한 올레도스(OLEDoS), IT용 초박형 패널 등 차세대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특히나 UHD 해상도의 31.5형 모니터용 QD-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제품을 전시하고 경쟁 제품과 비교하는 등 화질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지난해 말부터 본격 양산하기 시작한 해당 제품은 현재 출시된 자발광 모니터 중 가장 높은 140PPI의 화소 밀도를 구현했다.
31.5형 모니터형 QD-OLED 제품은 IMID가 올해 새롭게 제정한 '올해의 디스플레이 대상'을 수상했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31.5형 QD-OLED 제품은 현재 글로벌 모니터 브랜드 10여 개 업체와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며 "높은 몰입도와 임장감을 원하는 게이머들은 물론 고화질 작업이 필요한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이창희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 "AI 시대 패널 혁신 선도...소비전력 저감 핵심 과제"
- 삼성전자, AI 바람 타고 다시 날았다...영업익 7분기 만에 10조 복귀 "반도체만 6.4조원"
- 삼성디스플레이, BMW '미니'에 원형 OLED 공급...신차 5종에 독점 제공
- 삼성디스플레이, 모니터용 QD-OLED 누적 출하 100만대 달성
- 삼성D, 美 'SID 2024'에서 차세대 QD, RGB 올레도스 등 OLED 미래 제시
- "프리미엄 OLED 개발 중추적 역할"...이청 삼성D 부사장, 'SID 2024' 공로상 수상
- 삼성D, QD-LED·폴더블 등 차세대 기술 논문 4편 '올해의 우수 논문' 선정
- 삼성디스플레이 "삼성 OLED가 AI 시대 디스플레이에 해답...저전력 기술 개발에 초격차"
- 삼성디스플레이, '순환경제 선도기업' 대통령상 수상..."탄소감축 노력, 저전력 기술 개발 이어갈 것"
- 삼성D, 과학 영재들에 차세대 기술 리더십 공개...진로 멘토링 등 프로그램 진행
- 삼성 디스플레이, 'AI PC' 시대 맞아 OLED 청사진 제시...대만 'IT 서밋 2024'서 첨단 기술 대거 공개
- '페라리 축제'에 등장한 삼성 OLED...삼성디스플레이, '피날리 몬디알리'서 차세대 혁신 제품 전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