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공정서 발생한 폐유리, 유리섬유·보도블록 원료로 재활용
폐기물 배출, 2년만에 3분의1 급감...자원순환 협업 '모범사례'
![삼성디스플레이는 환경부가 주관하는 '자원순환의 날' 기념식에서 '순환경제 선도기업 및 성과우수사업장'으로 선정됐다. 사진은 아산1캠퍼스 전경. [삼성디스플레이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9/230886_127589_1039.jpg)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삼성디스플레이는 환경부가 주관하는 '자원순환의 날' 기념식에서 '순환경제 선도기업 및 성과우수사업장'으로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순환경제 선도기업 대상'은 제품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감량하고 재활용을 활성화해 순환경제사회에 기여한 기업에 수여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대체 불가 자원인 모래와 물을 보호하기 위해 공정 재료를 재자원화하는 등 산업 내 순환경제 생태계를 꾸준히 확장하고 있는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유리를 다시 모래로'라는 슬로건 아래,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폐유리를 유리섬유, 보도블록 원료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특히 올해 입주를 앞두고 있는 사옥 'SDR(삼성디스플레이 리서치)' 공사에는 폐유리를 부원료로 재활용한 시멘트 2만여톤(t)이 투입됐다. 이는 신규 사옥 건설에 필요한 시멘트의 약 34%에 해당하는 양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폐기물 감량과 처리 과정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아산1캠퍼스에서 발생한 폐기물의 양은 전년 대비로는 약 17% 감소, 2년 전과 비교하면 33% 감소했으며, 재활용률은 98.3%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2030년까지 폐기물 재활용률 99.9%를 달성할 계획이다
폐기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 협력사 및 고객사와 협업한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폐액에서 은을 추출하는 기술을 협력사와 함께 개발해 적용 중이며, 폐유기재료는 소각 처리하는 대신 외부 협력사에 보내 희토류를 추출하고 있다.
패널 포장재는 고객사와 연계해 전량 회수 프로세스를 구축했는데, 회수된 포장재는 분쇄 과정을 거쳐 100% 포장재 제조에 재투입된다.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은 "디스플레이 산업 내 순환경제를 확립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이 이번 수상으로 다시 한 번 인정받게 됐다"며 "앞으로도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감축 노력과 저전력 기술 개발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삼성, ‘2024년 하반기 신입사원 공채’ 실시...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
- 삼성디스플레이 "삼성 OLED가 AI 시대 디스플레이에 해답...저전력 기술 개발에 초격차"
- 삼성디스플레이, "업계 최고 해상도·연신율"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공개
- 이창희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 "AI 시대 패널 혁신 선도...소비전력 저감 핵심 과제"
- 삼성전자, AI 바람 타고 다시 날았다...영업익 7분기 만에 10조 복귀 "반도체만 6.4조원"
- 삼성디스플레이, BMW '미니'에 원형 OLED 공급...신차 5종에 독점 제공
- 삼성D, 과학 영재들에 차세대 기술 리더십 공개...진로 멘토링 등 프로그램 진행
- 삼성 디스플레이, 'AI PC' 시대 맞아 OLED 청사진 제시...대만 'IT 서밋 2024'서 첨단 기술 대거 공개
- '페라리 축제'에 등장한 삼성 OLED...삼성디스플레이, '피날리 몬디알리'서 차세대 혁신 제품 전시
- 삼성디스플레이, 업계 최초 퀀텀닷 잉크 재생기술 확보...연 100억원 절감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