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진 서울대 교수, 기업거버넌스포럼 주최 간담회에서 주장
“자기자본비용(COE) 반영한 계획을 발표해야 진정한 밸류업” 강조

김우진 서울대 교수는 기업거버넌스포럼 주최로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메리츠금융지주와 같은 공시 형태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기업 밸류업 관련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김우진 서울대 교수는 기업거버넌스포럼 주최로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메리츠금융지주와 같은 공시 형태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기업 밸류업 관련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올해 초부터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현상 해소를 위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운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메리츠금융지주와 같은 공시 형태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기업 밸류업 정책 시행 이후 다수의 상장기업들이 밸류업 계획 공시를 했지만, 자기자본비용(COE)을 고려한 기업은 거의 없었다는 것이다.

20일 김우진 서울대 교수는 기업거버넌스포럼 주최로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밸류업은 우리 회사 자본비용이 얼마인지 인식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가 이야기한 자본비용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자본조달 비용과 사업의 불확실성 위험에 상응해 기대하는 요구 수익률이다. 

이에 따라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자본비용을 밑도는 기업은 자본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김 교수는 “대다수 기업들이 구체적인 자본비용이 얼마인지 주주들에게 내놔야 하는데 못 내놓고 있다”며 그와 다른 모범 사례로 메리츠금융지주의 밸류업 계획을 지목했다.

올해 7월 메리츠금융지주는 밸류업 공시를 통해 자본비용을 약 10% 수준으로 제시한 바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기업거버넌스포럼은 자본비용을 비롯해 ▲총주주수익률(TSR) ▲주주환원율 ▲자본초과수익 등 모든 핵심 지표가 밸류업 계획에 포함돼 있다며 메리츠금융지주를 ‘밸류업 모범생’으로 손꼽았다.

김 교수는 “재무이론에 따르면 자본비용보다 ROE가 높으면 PBR(주가순자산비율)이 1보다 크다”며 “우리나라는 지금 ROE가 요구수익률 또는 자본비용보다 낮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회사가 어떤 상황인지 파악을 하려면 자본비용에 대한 언급이 있어야 하는데 밸류업 공시를 한 키움증권의 경우 이러한 인식이 없어 박한 평가를 받은 것”이라고 진단했다.

여기에 추가로 김 교수는 “밸류업이 마치 임금 인상처럼 ‘우는 아이 떡 하나 더 주는’ 식으로 오해되고 있는 측면이 있다”며 “목표가 아니라 수단이자 과정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궁극적으로 우리가 하고 싶은 것은 주주환원을 더 하든지, 아니면 재투자를 더 하든지 해서 기업가치와 시가총액, 주가를 올리는 것”이라며 “그게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