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3일 야간 거래에서 1442.0원까지 뛰어
금융업계, 단기 저항선 1450원선까지 높아진 것으로 진단
환율 방어에 외환보유액 급감 가능성 있어…4000억달러 유지도 위태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이전 거래일보다 10.1원 하락한 1426.9원을 기록했다.서울 중구 명동거리 환전소에 원/달러 환율 등이 표시된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12/236058_133943_3353.jpg)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이후 일주일이 넘게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환율 단기 저항선이 계속 오르고 있다.
이번 비상계엄 사태 전에는 원/달러 환율이 1400원만 넘어도 외환당국이 비상이었으나, 어느새 1400원대가 익숙해지면서 심리적 마지노선이 1450원까지 밀린 상황이다.
이는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등 경제가 극도로 불안정한 시기를 제외하면 경험해보지 못한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환율이 저항선을 뚫고 1500원대까지 오를 경우 외환당국이 방어를 하는 과정에 외환보유액이 대폭 줄어들 수 있다는 위기론도 제기하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는 이전 거일보다 10.1원 하락한 1426.9원을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처음으로 하락 전환했으나, 그동안 급등한 탓에 1400원대 고착화 조짐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지난 3일의 경우 야간 거래에서 1442.0원까지 뛰면서 단기 저항선은 1450원선까지 높아진 상태다.
현재 시장에서는 환율이 1450원을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도 있는데, 이는 지난 1997~1998년 외환위기, 2008~2009년 금융위기를 제외하면 겪어본 적 없는 위기 상황이다.
이유정 하나은행 연구원은 “1450원 정도를 상단으로 봤는데, 지금과 같은 정치적 불확실성이 계속되면 1450원을 조금 더 넘을 수도 있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는 미국발 서브프라임 사태에서 촉발된 세계적 신용위기 성격을 갖고 있었지만, 외환위기와 이번 사태는 국내에 국한된 문제라는 공통점이 있다.
여기에 추가로 현재는 외환위기 당시보다 100배 이상 많은 외화보유액에 대외순자산국으로 탄탄한 경제 기초체력을 갖추고 있지만, 현 윤석열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가 내란 혐의를 받는 사상 초유의 리더십 부재가 치명적이라는 평가가 있다.
이에 따라 정국 불안 장기화로 극단적인 고환율 상황이 이어질 경우 우리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원은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환율 상승으로 수입 물가가 오르면 소비가 더 위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수출 업체는 고환율이 채산성에 긍정적일 수 있지만, 수입 업체의 비용 상승을 유발해 긍정적인 효과는 제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환차손을 우려한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출되면, 경제 하방 압력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환율 상승 압박으로 외환당국이 공격적으로 시장 개입에 나서게 되면 외환보유액이 대규모로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53억9000만달러인 것으로 집계됐다.
외환보유액은 지난 2021년 10월 4692억1000만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이후 3년 동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번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지난 2022년 5월 이후 지난달 말까지 300억달러 이상 감소했다.
규모만 보면 올해 10월 말 기준 중국, 일본, 스위스, 인도, 러시아, 대만, 사우디아라비아, 홍콩에 이어 세계 9위 수준이다.
문제는 원/달러 환율이 1450원을 돌파해 1500원을 넘나들 경우 당국이 외환보유고를 열고, 시장 개입에 나서면서 외환보유액 규모가 4000억달러 아래로 줄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은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등으로 ‘컨틴전시 플랜’(상황별 대응 계획)을 가동할 예정이지만, 단기 처방으로 환율 방어가 가능할지도 현재로선 안개 속이다.
이에 따라 당장 비상계엄 이후 외환보유액 감소 규모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외환당국은 시장 개입 여부를 공식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일주일 간 환율 변동 그래프를 보면 당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한 흔적이 눈에 띈다는 게 중론이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외환보유액이 4000억달러 아래로 떨어지면 시장 불안이 높아질 것”이라며 “외국인 투자자 자본 유출이 더 빨라지고 내국인 자본 유출도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환율 급등에 시장 개입으로 외환보유액을 소진하면 외화 부족이 다시 외환위기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한다”며 “당국도 과도한 개입을 하기는 어려운 딜레마가 있다”고 언급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탄핵정국에도 외국인은 큰 동요없었다…주식 매도속 선물은 순매수, 수급 안정적
- '탄핵 정국발 공포'에 금융시장 블랙먼데이 참극...주가폭락· 환율급등, 개인 '패닉셀'
- 내년 한국 경제 어쩌나…골드만삭스 “정치적 불안정성에 성장률 하방 위험성 커”
- '코스피 구원투수' 기관 투자자, 비상계엄 후 2조원 넘게 매수…삼성전자·SK하이닉스·카카오 사들여
- 韓 증시, 여전히 불안한데…美 나스닥 지수 사상 최초 2만선 돌파, ‘나홀로 강세’ 두드러져
- “내년 실적, 은행도 장담 못 한다”…5대 금융지주, ‘영업 전문가’ 은행장 배치로 치열한 경쟁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