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행정부, 20일 공식 출범...다음날부터 'MAGA' 정책 쏟아내
국내 정치선 여전히 尹 탄핵 '압도적'...서울서부지법 폭동 사태 '논란'
산업 분야는 삼성전자 '갤럭시 S25' 주목...'가격 동결'에 많은 칭찬 이어져
![한 주간 가장 큰 이슈가 됐던 사건을 둘러싼 여론을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다.1월 넷째 주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윤석열 대통령 변론 및 지지자들의 폭동 사태, 삼성전자의 '갤럭시 S25' 시리즈 출시 등이 주요 이슈로 등장했다. [사진=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1/238671_136890_1445.jpg)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한 주간 가장 큰 이슈가 됐던 사건을 둘러싼 여론을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봅니다.
1월 넷째 주는 도널드 트럼프 2기 美 행정부 출범, 윤석열 대통령 변론기일 및 지지자들의 폭동 사태, 삼성전자의 '갤럭시 S25' 시리즈 출시 등이 주요 이슈로 등장했는데요.
전세계 모든 국가와 기업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은 지난 20일(한국시간 21일) 미국 워싱턴DC 연방 의사당 중앙홀에서 열렸습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줄곧 외쳤던 'MAGA'(마가·미국을 위대하게) 실현을 위한 정책을 펼친다고 선언했는데요.
실제 트럼프는 취임 다음날인 21일 미국 주도의 인공지능(AI) 시대를 선언하며 오픈AI, 소프트뱅크, 오라클의 AI 합작회사 '스타게이트' 설립을 직접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사태' 관련 댓글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 경찰, 내란, 처벌, 폭동 등이 눈에 띈다. [사진=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1/238671_136899_3418.png)
국내 정치로 돌아오면 여전히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이 모든 이슈를 집어삼키고 있는데요. 이번 주에는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사태와 윤 대통령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이 있었습니다.
19일 새벽 발생한 서울서부법원 폭동 사태는 헌정 사상 최초로 사법부의 결정에 반대해 법원과 민간인을 상대로 집단적인 불법 점거와 폭동 행위를 감행한 사건이란 오명을 안게 됐는데요.
검찰은 경찰이 구속영장을 신청한 폭도 66명 중 63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이중 58명은 '도주 우려'를 이유로 구속되기까지 했습니다.
23일에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 4차 변론이 이뤄졌습니다. 윤 대통령이 3차 변론에 이어 참석한 가운데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은 피청구인(윤석열) 측 증인으로 출석해 신문에 답변했습니다.
김 장관은 피청구인 신문에만 답하고 청구인인 국회 측 반대신문에는 증언 거부권을 사용했습니다.
이후 재판부가 반대신문에서 증언 거부권을 사용하는 것은 증언의 신빙성을 스스로 없애는 행위임을 고지시키고서 휴정한 후에야 입장을 바꿔 반대신문에 답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삼성전자 '갤럭시 S25' 관련 댓글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들. 삼성, 울트라, 아이폰, 갤럭시, 가격 등이 자주 언급됐다. [사진=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1/238671_136900_3428.png)
산업 이슈로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갤럭시 S25' 시리즈 출시가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한층 고도화된 AI 기능을 탑재한 이번 제품은 내달 7일부터 국내 포함 전세계에 순차 출시될 예정인데요. 이와 관련 많은 IT 테크 유튜버들과 전문가들이 제품 사용 후기 영상들을 올리며 주목을 끌기도 했습니다.
유튜브 영상과 기사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 및 트럼프 취임 관련 이슈에 대한 반응의 댓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서부지방법원 점거 폭동 사태'와 '윤 대통령 변론기일'은 관련 키워드에는 각각 4만6392개, 5만3577개의 댓글이 올라왔습니다.
'트럼프 취임식'과 관련해서는 4만1162개의 댓글이 달렸습니다. IT 분야서 많은 관심이 주목된 '갤럭시 S25' 연관 영상·기사에는 6784개의 댓글이 올라왔습니다.
뉴스퀘스트는 '브랜드&평판연구소'와 함께 빅데이터 기반의 '키워드 평가 측정' 프로그램을 활용, 유튜브 영상 및 뉴스에 달린 댓글 여론을 분석합니다.
'브랜드&평판연구소'는 CEO와 정치인·연예인 등 사람을 비롯 기업과 도시·지자체·국가의 브랜드평판에 대한 조사, 연구 및 산학협동을 통해 브랜드평판 구축 및 관리전략을 도출하는 전문 컨설팅 기관입니다.
'키워드 평가 측정'에는 유튜브와 네이버가 각각 제공하는 '데이터 API 버전 3'과 '서치 API'를 활용해 각각 최대 200~500개에 달하는 영상 및 뉴스에 달린 댓글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댓글 데이터에 대한 정밀 분석은 오픈 AI의 GPT-4omni 모델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수집된 각 댓글의 전반적인 긍·부정 평가와 의견을 세밀하게 파악합니다.
취임한 건 트럼프인데...누리꾼들은 韓 정치인 초청 두고 설왕설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제47대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1/238671_136893_1526.jpg)
트럼프 취임식을 놓고 국내 네티즌들은 한국 정치인들의 취임식 초청 여부를 두고 설왕설래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초대받은 정치인과 초대받지 못한 정치인들을 비교하며 누가 트럼프 행정부에 더 가까운지를 언급하는 식이었는데요.
트럼프 당선자로부터 초청을 받았다고 알린 정계 인사는 홍준표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등 지자체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등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미 대통령 취임식은 국내 행사인만큼 외국인들에 대한 '공식 초청'은 없으며 우리 측 정부 공식 대표는 조현동 주미대사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트럼프 취임식' 관련 댓글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한국', '초청', '민주당' 등이 있다. [사진=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1/238671_136901_3443.png)
한편에선 트럼프 행정부가 슬로건으로 내세운 'MAGA'(미국을 위대하게)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감이 섞인 댓글들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주요 댓글을 살펴보면 "힘 있는 나라의 힘 있는 대통령이 추진할 정책이 미국에 분명 큰 도움이 될 것",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트럼프의 뚝심 하나는 인정해야 한다", "관세 부과로 인해 세계 무역이 축소하고 다시 미국 물가가 상승하면 미 패권의 몰락이 가속화될 수도 있다", "미국 혼자만 계속 잘 사는 정책이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등이 있었습니다.
영상 및 기사에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들로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 '민주당', '초청', '홍준표', '국민', '한국' 등이 있었습니다.
연이은 헌정 사상 초유의 일들...폭동 사태엔 "엄중한 수사" 한목소리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되자 일부 지지자들이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에 난입한 19일 서부지법 외벽 등이 파손돼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1/238671_136894_1541.jpg)
헌정사상 초유의 사법부에 대한 폭동 행위에 대해서 대부분 네티즌들은 폭력 행위에 반발하며 엄중한 수사를 촉구하는 의견을 내비쳤습니다.
주로 "보수 진보 상관없습니다. 폭력에는 대가가 따라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힘이 없어서 참는게 아닙니다", "체포되니 사람이 바뀌는게 소름돋는다", "사법시스템 무력화는 제2의 내란폭동" 등이 많은 공감을 얻었는데요.
관련어를 살펴봐도 '처벌', '내란', '폭동', '구속' 등이 가장 많이 언급됐으며 다음으로는 '경찰', '법', '국민', '사람', '법원', '선동', '폭력', '폭도' 등이 자주 나타났습니다.
윤 대통령의 변론기일과 관련해서는 반응이 극명하게 갈리는 모양새입니다.
한쪽에서는 윤 대통령이 주장하는 '부정선거 의혹'의 타당성을 주장하고 헌법재판관들의 이념 편향성을 지적하는 댓글이 있었습니다.
다른 한쪽에서는 이번 변론기일에서 피청구인(윤석열)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언급한 내용들이 서로 엇갈리며 변명과 말장난을 하고 있다며 이들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윤 대통령 변론기일' 관련 댓글 단어들. '대통령', '국민', '헌재' ,'계엄', '윤석열', '부정선거' 등이 눈에 띈다. [사진=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1/238671_136902_3458.png)
주요 댓글을 살펴보면 "판사들이 눈치보지 말고 정석대로 재판을 해줘야 한다", "군이 안따를 것 알았다면 계엄을 대체 왜 한 것인가. 계엄으로 법을 부정하더니 이젠 법정에서까지 재판관들과 국민들을 우롱한다", "바이든-날리면으로 청력 테스트를 하더니 이제는 의원-요원인가. 대체 어디까지 국민들을 시험하는 것인가" 등이 있었습니다.
관련어를 살펴보면 '대통령', '국민', '윤석열', '헌재', '계엄', '민주당', '탄핵', '나라', '부정선거' 등의 단어가 자주 언급됐습니다.
갤럭시 S25 '가격 동결', '엣지 출시'엔 칭찬·기대, 'RAM 용량'은 아쉬워
![갤럭시 S25 시리즈 [사진=삼성전자]](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1/238671_136895_166.jpg)
삼성전자 '갤럭시 S25'와 관련 국내 누리꾼들은 '가격 동결'과 '엣지 모델'에 대해선 칭찬 및 기대의 목소리를 낸 반면 RAM 용량과 관련해서는 아쉽다는 의견을 내비쳤습니다.
삼성전자는 이번 갤럭시 S25를 더 많은 고객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국내에서 전작과 같은 판매가로 가격을 동결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이나 다른 저가폰들도 다 올리는 마당에 가격동결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가격 동결 칭찬합니다" 등의 댓글이 많은 공감을 얻었는데요.
또한 언팩 행사 마지막에 짧게 공개된 슬림 모델 '갤럭시 엣지'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습니다.
"두께가 얇은데 무게도 가볍고 카메라 화소도 인상적이다. 엣지 판매량도 무시 못할 듯", "휴대성이 엄청 좋을 듯", "근 5년간 최고의 삼성 언팩 행사인듯", "아이폰 슬림보다 먼저 나온다. 역시 삼성" 등의 댓글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다만 많은 기대를 모았던 RAM 16GB(기가바이트) 및 용량 1TB(테라바이트) 모델이 '티타늄 제트블랙' 색상 1종으로만 출시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아쉽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색상으로 성능 차이가 있는 이유를 좀 알고 싶다", "화이트 색깔을 기다려왔던 구매자로선 아쉬운 부분이 있다" 등의 반응이었는데요.
'갤럭시 S25' 관련 영상·기사에서 자주 언급된 단어들을 살펴보면 '삼성', '갤럭시', '울트라', '아이폰', '가격', '성능', '카메라', '기능', '램' 등이 있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빅데이터로 읽는 한주간 이슈] 윤 대통령 체포 이슈로 뒤덮인 일주일...음모론과 적대감 표명 댓글 대다수, ‘경제 이슈’ 실종
- [빅데이터로 읽는 한주간 이슈] 아찔했던 '에어부산' 사태 및 中 '딥시크' 쇼크...전한길 강사의 '탄핵 반대'
- 삼성 '갤럭시 S25' 글로벌 출시..."모바일 AI 시대 활짝, 지원 언어 46개로 확대"
- [빅데이터로 읽는 한주간 이슈] '1·2심 무죄' 이재용 회장, 첫 경영 행보는 올트먼·손정의...韓·美 정치권, 모두 대통령 '한마디'에 이슈 '좌지우지'
- [빅데이터로 읽는 한주간 이슈] 전국민 눈물 흘린 '대전 초등생 피살' 사태...감동과 기쁨 선사한 '하얼빈 아시안게임'
- [빅데이터로 읽는 한주간 이슈] 김새론 비보에 악플·황색언론 책임론 높아...尹 탄핵심판 끝이 보인다
- [빅데이터로 보는 탄핵심판] 똑같이 '국민', '민주주의' 외쳤지만 정서적 양극화 더 커졌다...댓글 69만4615개 분석
- [빅데이터로 보는 한주간 이슈] 막내린 尹 탄핵변론...가뭄의 단비 같은 출산율 반등
- [빅데이터로 보는 한주간 이슈] 尹 탄핵선고 지연에 "더 늦으면 나라경제 박살난다"
- [빅데이터로 보는 한주간 이슈]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에 누리꾼들 "안 내고 안 받을래"
- [빅데이터로 보는 한주간 이슈] '역대 최악' 경북 산불 "나라 모두 태워먹는 일...방화범 엄벌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