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수출액, 전년 동기 대비 10.3% 감소했지만, 일 평균 수출 규모는 증가
트럼프 대통령, 한국 정부에 무역적자 축소 방안 요구할 가능성 높아
NH투자증권 “올해 한국 수출 증가율, 기존 4%에서 3.5%로 하향 조정”

부산항 신선대부두. [사진=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부두.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캐나다·멕시코·중국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폭풍’이 한국 주식시장뿐 아니라 수출에도 타격을 입힐 것으로 보인다.

올해 1월 양호한 일평균 수출 규모를 기록했지만, 연간 수출 증가율은 예상치보다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월 수출액은 491억 2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0.3% 감소했지만,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4억 6000만달러로 오히려 7.7% 증가했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수출 급감은 조업일수 감소로 인해 이미 예견된 사항”이라며 “올해 1월은 설 연휴(28~30일)와 임시공휴일(27일, 사업장에 따라서는 31일도 휴무)이 겹치며 전년 동월 대비 조업일수가 4일 적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에 따라 일평균 수출을 보는 것이 중요한 데 전년 대비 7.7% 증가하면서 지난해 10월(-0.2%)을 바닥으로 3개월 연속 개선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우리나라의 경우, 작년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일평균 수출 증가세가 개선되어 온 부분은 긍정적”이라며 “그러나 미국 제조업 회복이 제한되는 등 올해 상반기 동안 한국 수출 성장 동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에 각각 25%, 중국에 10% 관세를 부과하고, EU를 비롯한 주요국에 대한 보편적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태다.

만약 10% 보편 관세 부과를 가정할 경우 한국의 대미국 수출은 10% 안팎으로 줄고, 0.3~0.4%의 부가가치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김찬희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관세 부과가 현실화돼 단기적으로 대외 수요 불확실성에 직면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업종별로는 북미 진출 기업이 많은 자동차와 기계류에 피해가 집중되겠고, 여타 품목 역시 과거 대비 확대된 대미국 수출의존도를 고려하면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문제는 이번에 한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1차 표적’에는 들어가지 않았지만, 향후 한국에 대한 무역협정 재검토, 대미(對美) 무역적자 축소방안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특히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의 가전·자동차·부품 관련 기업들에게 멕시코 관세는 생산기지의 이점(인건비, 물류비)을 상실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향후 관련 기업들이 생산시설을 미국과 한국으로 옮기는 전략에 속도를 높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정여경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올 한해 한국 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기존 4%에서 3.5%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초안(감세안, 규제 완화 등) 발표와 미국 공장 가동을 위한 설비투자 집행(올해 중반 예상)이 한국 수출 개선을 뒷받침할 수 있다”며 “한국의 수출 실적은 1분기(+0.4%)를 저점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궤적을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