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균 약 14% 성장 글로벌 히트펌프 건조기 시장 절대 강자 위상 공고화
![LG전자 히트펌프 건조기(사진 오른쪽. 모델명: DLHC5502)가 세탁기와 병렬로 설치된 모습 [사진=LG전자]](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2/239601_137949_3950.jpg)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 LG전자가 모터∙컴프레서 등 핵심 부품 기술력에 AI 기술을 더한 프리미엄 건조기 제품들로 북미시장 히트펌프 건조기 시장의 최강자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한다.
LG전자는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오는 25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열리는 북미 최대 주방∙욕실 전시회 ‘KBIS(The Kitchen & Bath Industry Show) 2025’에서 AI를 더한 핵심 부품 기술력(코어테크)으로 옷감 손상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히트펌프 건조기 라인업을 집중 전시한다.
히트펌프 건조기는 컴프레서로 냉매를 압축해 만든 건조한 공기를 내부 순환시켜 저온제습하는 방식이다.
가스∙전기 히터로 공기를 가열하는 ‘배기식 건조기’보다 에너지 소모량이 낮고 옷감 손상도 적을 뿐만 아니라, 습증기 배출용 배관을 벽에 뚫을 필요 없어 설치도 편리하다는 평가다.
국내에서 대세로 자리잡은 히트펌프 건조기의 친환경성∙설치 용이성 등 장점이 부각되면서 세계 최대 프리미엄 가전 시장인 북미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LG전자가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히트펌프 건조기(모델명: DLHC5502)는 북미 시장 최초로 AI DD모터를 탑재한 제품이다.
세탁조∙건조통(드럼)과 모터를 직결한다는 의미의 DD(Direct Drive)모터는 벨트로 드럼을 감아 돌리는 방식에 비해 내구성이 높고 섬세한 움직임을 구현한다.
특히, 세탁물의 무게∙습도∙옷감 종류 등을 분석하는 AI 기술을 적용해 세탁∙건조 강도를 세탁물에 맞게 자동 조절한다.
LG전자는 세탁기에 먼저 탑재한 AI DD모터를 지난해부터 건조기에도 업계 최초로 적용해 건조 수준을 한 차원 업그레이드 했다.
건조통이 움직이는 속도를 섬세하게 제어, 드럼 내 세탁물의 낙차를 줄여 한 방향으로 정속 회전하는 일반 건조기보다 옷감 수축을 개선한다.
또한, 건조통 내 습도∙전류량 등을 분석해 옷감의 종류와 무게에 최적화해 건조함으로써 건조시간을 줄이고 옷감 손상도 최소화한다.
LG전자는 이번에 전시하는 히트펌프 건조기 전 라인업에 실린더가 2개인 듀얼 인버터 히트펌프를 적용했다.
듀얼 실린더 방식은 싱글 실린더 대비 냉매 압축∙순환 효율이 높아 건조 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다.
LG전자는 북미 시장에 듀얼 인버터 건조기를 지난 2021년 업계 최초로 출시한 데 이어, 워시타워·워시콤보 등 복합형 세탁건조기로 적용 라인업을 확대했다.
LG전자는 AI 및 핵심 부품 기술력을 기반으로 급성장 중인 히트펌프 건조기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곽도영 LG전자 리빙솔루션사업부장(부사장)은 “뛰어난 건조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모두 갖춘 히트펌프 건조기를 앞세워 북미시장에서의 프리미엄 리더십을 확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LG전자, 구성원 생애주기 맞춤형 선물 지속 확대
- LG전자, 고객 맞춤형 HVAC 솔루션으로 북미 시장 공략
- LG전자, ‘그램 프로 AI 스페이스’ 팝업스토어 운영..."LG 그램 프로 신제품 체험"
- LG전자, 북미 사옥에 ‘LG 매그니트’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 오픈
- LG전자, 2025년도 ‘소상공인 고효율기기 지원사업’ 참여...최대 480만원 환급
- "두 명 중 한 명이 선택"...LG전자 OLED TV, 전 세계 12年 연속 1위
- LG전자, 공간 효율 높인 냉장고 ‘핏 앤 맥스’ 로 빌트인 가전 시장 공략
- 무디스, LG전자 신용등급 '긍정적' 상향..."안정적 수익창출 능력"
- LG전자, 초프리미엄 빌트인 주방 브랜드 ‘SKS’ 로 美 시장 공략
- LG전자, 미래 모빌리티 기술 선점한다....에이펙스 AI에 전략적 투자
- LG전자, 美 타임스퀘어에 멸종 위기종 '제왕나비' 영상 공개
- LG전자, 최대 용량 '초프리미엄' 세탁기·건조기로 美 시장 공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