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 이사회 열어 합병안 논의...1월 초 CIC 형태 합병 목표

SK그룹이 사업 재편의 일환으로 에너지 사업체인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을 17일 이사회를 통해 결정 될 예정이다. 사진은 서울 종로구 SK 사옥. [사진=뉴스퀘스트]
SK그룹이 사업 재편의 일환으로 에너지 사업체인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을 17일 이사회를 통해 결정 될 예정이다. 사진은 서울 종로구 SK 사옥. [사진=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SK그룹의 에너지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안이 논의된다. 이번 합병을 통해 초대형 에너지 공룡이 탄생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과 SK E&S는 이날 각각 이사회를 열어 양사의 합병안을 논의한다.

앞서 SK그룹은 사업구조 리밸런싱(재구조화)의 일환으로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을 추진해 왔다.

SK그룹의 에너지 사업 중간 지주회사인 SK이노베이션은 정유, 화학, 자원개발 등 화석연료 기반의 회사로 보유 자산만 약 86조원에 달한다.

또 비상장사로 ‘알짜’로 알려진 SK E&S는 액화천연가스(LNG), 수소, 재생에너지 등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회사로 19조원 규모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SK그룹의 지주사인 SK㈜가 36.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SK E&S는 지분 90%를 보유 중이다.

이번 합병은 그룹 에너지 사업의 시너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캐시카우(현금창출원)인 SK E&S를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인 SK온의 자금난 해소와 함께 향후 투자를 확대하기 위함이다.

SK온은 지난 2021년 10월 출범한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자회사다. 지난해 5818억원의 영업 손실을 비롯해, 올해 1분기 3315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출범이후 10분기 연속 적자에 빠져있다.

여기에 설비 투자 등을 위한 자금 투입을 이어가면서 SK온을 포함한 SK이노베이션의 올해 1분기 총 차입금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한 33조4870억원을 기록했다. 또 올해 계획한 SK온 시설투자 규모는 약 7조5000억원으로 자금 수혈이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다.

반면, SK E&S의 지난해 매출은 11조1700억원, 영업이익 1조3300억원으로, 양사가 합병시 SK E&S의 자금력으로 SK온에 수혈할 수 있는 여력이 생긴다.

SK그룹 이에 양사의 합병을 통해 에너지 사업 시너지와 SK온의 자금난 해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계획이다.

만약, 양사 합병안이 이사회를 통과하면 자산 규모 약 106조원의 거대 에너지 기업이 탄생하게 된다.

양사의 합병안이 이사회를 통과하면 다음 달 중으로 합병 승인을 위한 임시 주주총회를 여는 등 후속 절차에 돌입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이르면 11월 초에 합병 절차를 마무리하고 통합 기업을 출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양사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내독립기업(CIC) 형태로 합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내독립기업은 주로 혁신을 주도하고 사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내 조직 형태로 존재하며, 계층 구조가 최소화돼 빠른 의사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핵심 사업에만 집중할 수 있어 해당 사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사의 최대주주인 SK㈜도 이날 논의 결과에 따라 오는 18일 이사회를 열어 합병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다만 SK E&S가 비상장사인 만큼 합병 비율에 따라 SK이노베이션 소액주주 등 이해관계자의 반발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시장 안팎에서는 SK이노베이션과 SK E&S가 1대 2 비율로 합병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