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경기 이천 본사에서 미래포럼 개최...회사 미래·방향성 논의
곽노정 대표이사, 홍상후 SKHU 총장 등 임원진 및 대학교수 참여
HBM 이후 회사 경쟁력 위한 기술 모색...각 사업에 반영 계획

SK하이닉스는 경기 이천 본사에서 ‘원팀(One Team)으로 넥스트(Next)를 준비하는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 행사에 참석한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 [SK하이닉스 제공=뉴스퀘스트]
SK하이닉스는 경기 이천 본사에서 ‘원팀(One Team)으로 넥스트(Next)를 준비하는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 행사에 참석한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 [SK하이닉스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SK하이닉스가 차세대 반도체 기술 및 제품을 비롯해 회사의 미래와 방향성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SK하이닉스는 경기 이천 본사에서 ‘원팀으로 넥스트를 준비하는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SK하이닉스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 SKHU 홍상후 총장을 비롯한 주요 임원진과 국내 주요 대학 교수진이 참석했다. SKHU는 대학 학제 체계를 갖춘 SK하이닉스 내 교육 플랫폼이다.

미래포럼은 ‘HBM(고대역폭메모리) 이후에도 회사가 시장 우위를 지키는 한편, 메모리의 가치를 높이고 인공지능(AI) 시대를 이끌어갈 방법을 내외부 전문가와 함께 찾아본다’는 취지로 기획됐다. 

이날 포럼은 ‘메모리 중심(Memory Centric) 시대의 주인공, SK하이닉스의 미래’를 주제로 2개의 세션이 진행됐다.

김장우(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김상범(서울대 재료공학부), 노원우(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유민수(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등 전문가들이 기술 변화 트렌드를 전했다.

또 SK하이닉스 박경 System Architecture 담당, 손호영 Advanced PKG개발 담당, 임의철 Solution AT 담당, 이세호 미래메모리연구 담당 부사장 등 내부 전문가들이 ‘트렌드에 발맞춘 SK하이닉스의 메모리 기술과 도전’을 소개했다.

신창환(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권석준(성균관대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유회준(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이유봉 한국법제연구원 팀장 등 외부 전문가와 SK하이닉스 구성원들이 함께 반도체의 미래에 관해 토론하는 시간도 이어졌다.

곽노정 사장은 “인공지능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고 가속화하면서 미래가 명확해지고, 예측 가능해질 줄 알았는데 훨씬 모호하고 예측이 어려워졌다”며 “다양한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어떻게 미래를 준비할지 폭넓게 고민하고 이야기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포럼의 취지를 밝혔다.

그러면서 “전문가적 시각에서 치열하게 고민하고 토론하여 방향을 설정하고 다함께 공감대를 형성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실현시켜 나가는 일련의 시퀀스를 정립해야 한다”며 “많은 구성원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이번 포럼을 의미 있게 만들어 주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노원우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AI 연산용 서버/데이터센터 아키텍체에 대해 발표했다. [SK하이닉스 제공=뉴스퀘스트]
노원우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가 AI 연산용 서버/데이터센터 아키텍체에 대해 발표했다. [SK하이닉스 제공=뉴스퀘스트]

첫 순서로 ‘AI시대, SK하이닉스와 미래 반도체 기술 변화’ 세션에서는 3개의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첫 발표에서는 ‘AI향 메모리의 향방’을 주제로 김장우, 노원우 교수가 ‘AI 연산용 서버/데이터센터 아키텍처’, ‘거대언어모델(LLM) 발전 방향 및 메모리의 역할’에 대해 각각 발표했다. 

이어 박경 부사장이 ‘CXL(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을 포함, 제2의 HBM으로 거듭날 차세대 메모리, 스토리지 제품에 대해 발표했다.

두 번째 주제는 ‘메모리 중심 시대’였다. 데이터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고도화 중인 PIM(프로세싱 인 메모리), 이를 구현하기 위한 Advanced 패키지 기술인 칩렛/SiP 등 메모리 중심 시대를 이끌 기술과 제품을 소개했다.

이세호 미래메모리연구 담당 부사장이  ‘뉴로모픽 컴퓨팅을 위한 기술’을 발표했다. [SK하이닉스 제공=뉴스퀘스트]
이세호 미래메모리연구 담당 부사장이  ‘뉴로모픽 컴퓨팅을 위한 기술’을 발표했다. [SK하이닉스 제공=뉴스퀘스트]

SK하이닉스는 미래포럼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각 사업에 반영,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연구·개발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여러 사내 조직들을 인터뷰하며 ‘메모리 중심의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체질을 바꾸고 이종집적 및 뉴로모픽칩, 커스텀 및 데이터센터향 제품으로 포스트 폰 노이만(프로그램 내장 방식)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SK하이닉스 측은 "포럼을 통해 얻은 성과를 연구·개발에 활용하기에 앞서 전 구성원에게 공유하고 SKHU 커리큘럼에도 적극 반영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회사는 구성원 역량을 강화하고 연구·개발을 지속해 미래 반도체 시장 리더십을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