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증가하는 스마트폰 소비 전력 문제 개선 노력 주목

SK텔레콤이 '리딩 라이트 어워즈 2024'에서 '우수 인공지능(AI) 활용 사례'로 선정됐다. [SK텔레콤 제공=뉴스퀘스트]
SK텔레콤이 '리딩 라이트 어워즈 2024'에서 '우수 인공지능(AI) 활용 사례'로 선정됐다. [SK텔레콤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SK텔레콤은 '리딩 라이트 어워즈 2024'에서 '우수 인공지능(AI) 활용 사례'로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리딩 라이트 어워즈'는 글로벌ICT(정보통신기술) 리서치 기관인 '인포마'와 통신 분야 전문 매체 '라이트 리딩'이 주관하는 시상식이다.

매년 각 분야 최고의 통신 사업자와 서비스에 상을 수여한다.

SK텔레콤은 온디바이스 AI 기반 스마트폰 소비전력 감소 기술에 대한 R&D(연구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우수 AI 활용 사례’ 부문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해당 부문은 이동통신 영역에서 네트워크·단말 성능 향상 및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AI를 혁신적인 방법으로 활용한 통신사 또는 제조사에게 수여된다.

SK텔레콤은 온디바이스 AI를 활용해 향후 일정 시간 이내의 데이터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 예측 결과에 따라서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연결 상태를 최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스마트폰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경량화 된 AI 모델을 스마트폰 모뎀에 구현해 실시간 동작을 확인했다.

또 일정 수준 이상의 데이터 발생 예측 정확도를 확보해 스마트폰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을 검증했다.

온디바이스 AI 기반 스마트폰 소비전력 감소 기술은 AI 시대에 증가하는 스마트폰 소비 전력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제조사가 하드웨어 측면에서 추진하는 배터리 용량 증가 및 부품 저전력화 노력 등과 병행할 경우 배터리 지속 시간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SK텔레콤의 설명이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에서 기술 개발 성과를 전시했으며, 기술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통신과 AI 융합의 중요성을 강조해 높은 호응을 얻은 바 있다.

SK텔레콤은 5G 진화 및 6G 시대에 대비해 이동통신 전 영역에 AI를 도입하고,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 노력 중이다. 

대표적으로 '텔코 에지 AI'를 차세대 인프라 구조 진화를 위한 핵심 기술로 보고 관련 기술 표준화를 선도하고 있으며, AI 기반 기지국 무선 송수신 기술·오픈랜 및 인프라 전력 절감 기술 등을 고도화하고 있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담당은 “이번 수상으로 SKT가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이동통신 및 AI 기술을 다시 한번 인정받게 됐다”며 “앞으로도 텔코 에지 AI 인프라 기술, 온디바이스 AI 기반 단말 소비전력 절감 기술 등 이동통신망의 가치를 높이는 기술들을 지속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