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임대인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취급 제한’ 연장
NH농협, 주택담보대출 만기 최대 40년에서 30년으로 축소
신한·우리·하나은행도 가계대출 관리 강화 방안 발표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KB국민·NH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가나다 순)은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한 조치에 나서고 있다.  [사진=각사제공]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KB국민·NH농협·신한·우리·하나은행(가나다 순)은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한 조치에 나서고 있다.  [사진=각사제공]

【뉴스퀘스트=김민수 기자】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증가세에 대한 관리 강화를 주문하면서 주요 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요건을 엄격히 적용하고 있다.

최근 조금씩 진정되고 있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언제 다시 과열될지 모르기 때문에 은행권은 연말까지 대출 억제 대책을 지속해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내부 회의를 통해 ‘임대인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취급 제한’ 조치를 연장 운영할 방침이다.

지난 9월 3일 KB국민은행은 갭 투자(전세를 낀 주택매입)를 막고, 실수요 위주로 대출하기 위해 해당 조치를 실행하면서 10월 말까지 한시적 운영을 예고한 바 있다.

그러나 가계대출 총량 관리 측면에서 아직까지 가계대출 수요 억제 조치를 완화하기 이른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KB국민·신한·우리·하나(나다 순) 등 주요 4대 시중은행 중 하나은행만 조건부 전세자금대출을 다루고 있다.

NH농협은행의 경우 다음 달 1일부터 한시적으로 주택담보대출 만기를 최대 40년에서 30년으로 축소해 운용할 예정이다.

NH농협은행 관계자는 “연말까지 안정적인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조치”라며 “잔금 대출 또는 디딤돌 대출 등은 제외된다”고 말했다.

KB국민은행과 NH농협은행뿐 아니라 주요 은행들은 가계대출 관리 강화 방안을 연이어 내놓고 있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11월 말까지 가계대출 중도 상환 해약금을 전액 감면하기로 했다. 중도 상환 부담을 낮출 경우 대출 총량 낮추는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우리은행은 신용대출 갈아타기 상품의 우대금리를 1.0~1.9%포인트 하향 조정했고, 연말까지 인터넷·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 비대면 채널을 통한 신용대출 판매를 중단한다.

하나은행의 경우 대출모집인별 신규 취급 한도를 설정해 각 모집인이 유치해오는 대출 규모를 일정 수준이 넘지 않도록 제한했다.

주요 은행들의 대출 관리 강화 관련 움직임은 연말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이달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은행들은 올해 4분기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을 억제할 방침이라고 응답했다.

전날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가계대출 잔액과 관련해 “9월보다 증가 폭이 늘어날 것으로 본다”며 은행권에 관리 강화를 주문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