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황과 회동.."올해 HBM 공급량 다 정했다"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CES 2025'에 참석한 최태원 SK 회장이 SK 전시 부스내 마련된 비즈니스 라운지에서 질의 응답을 진행하고 있다. [SK그룹 제공=뉴스퀘스트]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CES 2025'에 참석한 최태원 SK 회장이 SK 전시 부스내 마련된 비즈니스 라운지에서 질의 응답을 진행하고 있다. [SK그룹 제공=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요구보다 좀 더 빠르다는 얘기를 나눴다고 전했다.

최태원 회장은 8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가 열리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내 SK 부스 비즈니스 라운지에서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오늘 황 CEO를 만났다”며 이 같이 밝혔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의 개발 속도가 엔비디아의 요구 수준을 추월했다고 언급했다.

최 회장은 “그동안은 SK하이닉스의 개발속도가 엔비디아 개발속도보다 뒤처져 있어서 더 빨리 개발을 해달라는 것이 상대방(엔디비아)의 요구였다”며 “최근에는 (SK하이닉스)개발속도가 엔비디아를 조금 넘고 있는 역전의 형태가 일어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HBM 공급과 관련해서는 올해 공급량 등은 다 결정됐고 이번 만남에서 확인하는 정도였다고 밝혔다.

실제 SK하이닉스는 지난해 3월 HBM 5세대인 HBM3E 8단을 업계 최초로 엔디비아에 납품하기 시작한 데 이어 같은 해 10월에는 HBM3E 12단 제품을 세계 최초로 양산에 나섰다.

최 회장은 황 CEO와 ‘피지컬 AI’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황 CEO가 지난 6일 CES 2025 기조연설에서 엔비디아가 피지컬 AI 개발 플랫폼인 ‘코스모스’를 출시한다고 공개한 것과 관련해 “한국은 제조업이 강하고 노하우가 많이 남아있다. 황 CEO도 원하는 게 디지털 트윈을 비롯한 피지컬 AI의 최근 발표한 코스모스 플랫폼”이라며 “뭘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지 정하진 않았지만 조금 더 논의해보자고 했다”고 말했다.

3년 연속 CES를 찾은 데 대한 소감을 묻는 질문에 “전부 AI화 되어가고 있다, 모든 것에 AI가 들어가기 시작했다는 것을 볼 수 있는 전시”라며 “속칭 피지컬 AI라고 하는 로봇이나 우리 주변 기기 안에 AI가 탑재되는 것이 일상화되고 상식화됐다는 것을 확인하는 자리였다”고 답했다.

최 회장은 SK의 AI 사업과 관련, 데이터 센터 사업 추진의 비전을 소개하기도 했다.

최 회장은 “(지금은) AI 반도체를 하고 있지만 새롭게 하고 있는 것은 AI데이터 센터 솔루션이 될 수 있는 모델을 찾는 것이며 AI 데이터 관련 비즈니스를 중점 추진 과제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이 AI산업 경쟁에서 뒤쳐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누차 강조하며 “AI는 이제 좋든 싫든 해야만 하는 것이고 이 경쟁에서 뒤쳐지면 반도체, 조선, 철강 등 그동안 우리가 자랑하던 모든 산업의 경쟁력이 위협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AI는 선택사항이 아니고 인터넷 환경이나 증기기관처럼 모든 분야에 걸쳐 전방위적 변화를 만들고 있는 산업”이라면서 “가능하면 최전선에 서서 이 변화를 이끌어갈 것이냐 따라갈 것이냐에 따라 경제적 부침이 달려 있을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태원 회장은 대한민국의 AI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도 덧붙였다.

최 회장은 “우리 스스로 어떤 형태로든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개발해야 한다”면서 ”제조업 관련 AI 라든지 로봇 관련한 AI라든지 특정 지역을 삼아 전략화 하든지 하기 위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AI 산업의 특화 없이 전반적인 성장을 추구하면 일개 기업이나 조직 단위 규모와 실력으로 세계 경쟁에서 이기기 어렵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끝으로 AI 인프라와 사람을 강조하면서 “교육을 통해 얼마나 많은 AI를 상시적으로 쓸 수 있는 사람이 되는지, AI를 만들고 연구하는 사람이 AI를 가지고 실험해 결과가 나오는 기본 환경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했다.

그는 “다른 나라, 다른 곳에 전부 의존하게 되면 우리 스스로 미래를 개척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워질 것”이라면서 “우리가 필요한 건 스스로 만들어야지 남에게 영원히 의존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