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 수혜 기업 중 중국에 투자한 기업에 불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진=AP/연합뉴스]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미국 백악관이 반도체법(Chips Act)에 따라 미국내 투자 기업에 미 정부가 지급키로 한 보조금에 대해 재협상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로이터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반도체 보조금에 대해 재협상을 추진 중이며 관련 지출 일부를 연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기존의 보조금 책정과 관련된 요구 사항을 다시 검토하고 변경한 뒤 일부 거래를 재협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변경 범위와 기존 합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로이터는 덧붙였다.

반도체법은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390억 달러의 보조금과 132억 달러의 연구개발(R&D) 지원금 등 5년 527억 달러(약 76조원)를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미 텍사스주 테일러에 총 370억 달러(약 53조4000억원) 이상 투입되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며, 미 상무부에서 이를 지원하는 보조금 47억4500만 달러(약 6조8000억원)를 받기로 계약한 바 있다.

또한,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에 AI(인공지능)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하기로 하고, 미 상무부는 여기에 최대 4억5800만 달러(약 6600억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계약한 바 있다.

로이터는 백악관이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은 뒤 중국 등 다른 국가진출 계획을 발표한 기업들에 대해서도 불만을 드러냈다고 전했다.

보조금 수혜 기업 중 중국에 투자한 사례로 인텔, TSMC,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꼽았다.

미국 정부로부터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기로 하고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추진 중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이번 재협상 결과에 따라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