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인사이트·클릭 투 서치 등 신규 AI 기능 적용
12일부터 2025년형 AI TV 사전 판매 개시

삼성전자 모델이 2025년형 AI TV 신제품 'Neo QLED 8K(85QNF990)'를 시청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모델이 2025년형 AI TV 신제품 'Neo QLED 8K(85QNF990)'를 시청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스크린 대중화에 나선다.  Neo QLED와 OLED(올레드·유기발광다이오드)의 AI TV 라인업을 확대하고 신규 AI 기능이 탑재된 QLED 신모델도 다음달 중 선보여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힌다.

삼성전자는 12일부터 한층 진화된 AI 기능을 탑재한 TV 신제품의 사전 판매를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올해 삼성전자는 Neo QLED 제품의 AI TV 모델군을 7개 시리즈로 확대했다. OLED도 기존 10개에서 14개 제품으로 늘려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AI TV를 경험할 수 있게 했다.

올해 삼성전자 AI TV는 홈 인사이트, 홈 모니터링, 클릭 투 서치 등 혁신적인 신규 AI 기능을 갖췄다.

먼저 홈 인사이트 기능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기기 사용 이력, 집안 현재 환경을 고려해 부재 중 기기 전원을 끄거나 요리 중 주방 후드 켜기 등 필요한 행동을 추천한다.

홈 모니터링 기능은 집안 보안 상황에 대한 실시간 알람을 제공한다. TV가 꺼진 상태에서 이상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또는 다른 TV로 알람을 보낸다.

2025년형 TV 리모컨에는 클릭 투 서치를 바로 실행할 수 있는 AI 버튼이 새롭게 추가됐다. 클릭 투 서치 기능은 버튼 하나로 시청하고 있는 콘텐츠와 유사한 프로그램을 추천하고, 등장 인물 등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도 제공한다. 

또 시청중인 콘텐츠의 자막을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로 변환하는 실시간 번역 기능도 지원해 언어 장벽없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2025년형 Neo QLED 8K(QNF990) 모델은 화질과 사운드도 더 강력해졌다. 3세대 AI 8K 프로세서 탑재로 콘텐츠에 최적화된 화질과 사운드를 구현한다. 저해상도의 콘텐츠도 8K 화질로 조정해주는 8K AI 업스케일링 프로 성능도 한 단계 업그레이드돼 몰입감 높은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Neo QLED 신제품 일부 모델과 OLED(SF95)에는 빛 반사를 크게 줄여주는 눈부심 방지 기술이 적용됐다. 사용자는 한낮에도 선명한 화면으로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삼성전자 모델이 '눈부심 방지(Glare Free)' 기술이 적용된 2025년형 AI TV 신제품 'OLED(83SF95)'를 시청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모델이 '눈부심 방지(Glare Free)' 기술이 적용된 2025년형 AI TV 신제품 'OLED(83SF95)'를 시청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무선 원커넥트 박스, 삼성 아트 스토어 등 디자인 편의성도 강화됐다.

Neo QLED 8K(QNF990)는 TV 주변 기기들을 TV에 연결하는 무선 원커넥트 박스 솔루션을 새롭게 적용해 선 없이도 최대 8K·120Hz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 TV 더 프레임에서만 제공되던 아트 구독 서비스도 확대 적용한다.2025년형 Neo QLED와 QLED 라인업에는삼성 아트 스토어가 적용돼 세계적인 미술관과 유명 아티스트의 예술 작품들을 고화질로 즐길 수 있다.

한편 삼성전자는 2025년형 AI TV를 사전 구매한 고객을 위한 혜택도 마련했다.

98형 Neo QLED 8K(QNF990) 구매 시 42형 OLED(SF90)를 무상 증정한다. 85형 Neo QLED 8K(QNF990) 구매 시 150만 삼성전자 멤버십 포인트 혜택을 주며 구매 모델에 따라 최대 450만 포인트까지 받을 수 있게 했다. 이외에 무타공 솔루션 할인혜택, 티빙 3개월 무료 이용권 등이 마련됐다.

삼성전자 관계자 "다양한 혜택이 제공되는 사전 판매를 통해 더 많은 고객이 새로운 AI TV를 직접 경험해 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