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민의 결혼과 가족 형태의 변화’ 보고서
초고령사회 진입하며 노인 고립 폭발적으로 증가...이혼 4건 중 1건 ‘황혼’
노인사회로 이동중…돌봄 체계·사회적 안전망 확충 획기적 대책 마련할때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9/252739_152661_2220.jpg)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서울의 가정에 초고령사회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가 15일 발표한 ‘서울시민의 결혼과 가족 형태의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이미 내국인 기준 60세 이상이 전체의 20.2%를 차지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가구 단위에서 고령자 가구 비율은 전체의 30.2%로, 10가구 중 3가구가 노년층 중심의 가정으로 바뀌었다.
특히 급증하는 노인 1인가구가 가장 큰 과제인 것으로 지적됐는데, 가족의 보호망을 벗어난 노년의 홀로서기는 곧 고립과 빈곤, 돌봄 공백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고령화된 1인 가구, 사회적 돌봄의 시험대
지난해 기준 서울의 1인 가구는 166만여 가구로 전체의 39.9%를 차지하며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 잡았다. 과거 청년층에 집중되던 1인 가구는 이제 60대 이상에서 크게 늘고 있다. 은퇴 후 혼자 사는 노인, 배우자와 사별·이혼으로 남은 홀몸노인은 점점 일상이 되고 있다
특히 65세 이상 전원으로 구성된 가구는 64만여 가구(15.5%)에 달한다. 고령 독립 가정의 다수는 건강·경제·정서적 취약성에 노출돼 있다. 이들은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사고에 대응하기 어렵고, 고독사의 위험 역시 높다. 결국 ‘노인 1인가구’ 증가는 국가와 사회가 책임져야 할 돌봄의 무게를 급격히 키우고 있다.
늦은 결혼과 늦은 이혼...흔들리는 가족의 울타리
서울의 혼인 건수는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 다시 늘고 있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4만2000여 건으로 전년 대비 16.9% 증가했다. 하지만 결혼 자체가 늦어지고 있다. 초혼 연령은 남성 34.3세, 여성 32.4세로, 과거보다 확연히 뒤로 밀려났다
이혼은 줄었지만, 평균 연령은 남성 51.9세, 여성 49.4세로 크게 높아졌다. 특히 60세 이상 ‘황혼 이혼’이 전체의 25%를 차지하며, 노후에 이혼을 선택하는 사례가 급증했다. 가정을 지탱하던 울타리가 무너지고, 중장년과 노년층까지 혼자 사는 상황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자료=서울시]](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9/252739_152655_155.png)
아이는 줄고, 가족은 흩어져
아이를 키우는 가구도 빠르게 줄고 있다. 서울의 영유아 자녀 가구는 2016년 35만여 가구에서 지난해 20만여 가구로 8년 새 40% 줄었다. 같은 기간 영유아 수도 44만 명에서 24만 명으로 감소했다. 이는 저출산의 흐름이 얼마나 뚜렷하게 서울에서 나타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반대로 가족의 형태는 더욱 다양해졌다. 비친족 가구는 2016년 6만여 가구에서 12만여 가구로 두 배 이상 늘었다. 혈연이나 혼인 관계가 아닌 친구, 동료, 생활 동반자가 함께 거주하는 모습이 확산된 것이다. 다문화 가구도 7만8000여 가구로 증가해 새로운 공동체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성 속에서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은 약해지고 있으며, 고령층 고립의 문제는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자료=서울시]](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9/252739_152657_1538.png)
정책은 어디까지 준비돼 있나
서울시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맞춤형 정책을 내놓고 있다. 청년층에는 주거·일자리 안정, 중장년층에는 일·가정 양립, 고령층에는 사회관계망 강화와 돌봄 서비스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고립·외로움 예방과 양육 친화 환경 조성을 핵심 목표로 내세웠다.
그러나 문제는 속도다. 이미 서울의 고령자 가구는 30%를 넘어섰고, 노인 1인가구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돌봄 체계와 사회적 안전망 확충이 현 추세를 따라잡지 못한다면, 노후의 빈곤·고독사는 곧 서울의 가장 큰 사회 문제로 불거질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와 관련 “고립과 외로움 예방, 청년 주거 안정, 양육 친화 환경 조성 등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한 노년 전문가는 “노인의 4분의 1이 ‘혼자 사는 가구’에서 생활하며, 노후 빈곤과 고독사는 점점 더 가까운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라며 “가족의 붕괴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문제인데, 이를 지탱할 공동체가 허물어지고 있다”며 빠른 정책 대응을 주문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100세 시대] 고독사, 50~64세가 가장 많다…그러나 더 위험한 건 75세 이상
- [100세 시대] ‘은폐된 보고서’의 경고...“25년 뒤 노인 10명중 4.2명은 '빈곤' 위험”
- [100세 시대] 60~64세 절반은 無소득·無연금...초고령사회 최대 리스크
- [100세 시대] 국민연금 평균 61만원이라지만...최고 318만원, 누군가는 11만원에 노후 버틴다
- 노화로 가장 무서운 건 ‘돈과 건강’…독거·무자녀·미혼, 더 두렵다
- [100세 시대] “20% 감액, 가난한 부부엔 ‘벌금’”...정부, 기초연금 불합리 손질 나선다
- [100세 시대] 요양원, 돌봄을 넘어 의료까지…“확대 필요, 그러나 준비가 먼저”
- [100세 건강] 두려운 파킨슨병, AI로 조기진단·光유전학으로 치료 “희망을 비춘다”
- “노인 돌봄인력 부족 해법 찾는다”…케어링, 中 업체와 돌봄로봇 개발 나서
- [100세 칼럼] “대통령님, ‘노년 담당관’도 만들어 주세요”
- [100세 칼럼] 영화 ‘사람과 고기’가 초고령사회에 던진 물음...“당신은 오늘 누구와 밥을 먹습니까”
- [100세 시대] “여성 노령연금 수급액, 남성의 절반뿐”...‘여성 노인 빈곤율’ 높은 이유 있었다
- [100세 시대] “옛날엔 마음껏 올랐는데...” 초고령사회, 계층이동 사다리가 끊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