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개혁 ‘모수 조정’으론 한계...OECD 최고 노인 빈곤율 더 악화
국민연금연구원 지난해말 연구결과 내놨지만 정부·여당이 비공개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무료급식을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509/251871_151752_4728.jpg)
【뉴스퀘스트=최석영 기자】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우리 국민들의 노후가 심각한 빈곤 위험에 놓여 있다는 ‘숨겨진 경고’가 드러났다. “현행 국민연금 제도가 유지될 경우 2050년 노인 빈곤율이 42%까지 치솟는다”는 충격적인 전망을 담은 보고서가 뒤늦게 공개된 것.
2일 국회 전종덕(진보당)·김선민(조국혁신당) 의원실에 따르면, 국민연금연구원은 지난해 12월 발간한 ‘공적연금 미시모의실험모형(PPSIM) 개발’ 보고서에서 이 같은 결과를 내놨다. 그러나 당시 정부와 여당이 추진하던 ‘재정 안정 중심 개혁안’과 배치된다는 이유로 영구 비공개 처리됐다. 이후 전종덕 의원이 “국민의 알 권리와 연구 독립성을 침해한 것”이라며 문제를 제기하자, 지난 8월 말에서야 뒤늦게 공개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연구진(한신실·유희원·홍정민·박주혜)은 소득대체율 40%, 보험료율 9%라는 현행 제도가 유지된다는 가정 아래 노후 소득 보장 효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우려스러웠다.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2025년 37.4%에서 시작해 꾸준히 상승, 2050년에는 42.3%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이미 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인 한국의 노인 빈곤이 앞으로 더 악화한다는 경고다. 빈곤의 ‘깊이’를 보여주는 빈곤갭 역시 확대돼, 노인들의 삶은 갈수록 팍팍해질 전망이다.
보고서는 특히 후기 노인(75세 이상) 인구의 급증을 빈곤 심화의 핵심 원인으로 지목했다. 전기 노인(65~74세)에 비해 소득이 낮고 의료·돌봄 비용 부담이 큰 후기 노인의 증가는 노후 빈곤율을 끌어올린다는 분석이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기초연금의 빈곤 완화 효과는 약화되고, 국민연금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커진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두 제도를 합쳐도 40%를 웃도는 노인 빈곤율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결국 소득대체율 상향, 퇴직연금 의무화 등 다층적 소득 보장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보고서는 비공개 처리된 채 묻혔고, 올해 3월 여야는 18년 만에 연금개혁안에 합의했다. 개혁안은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을 43%로 조정했으며, 기금 운용수익률 목표를 상향해 기금 소진 시점을 2071년으로 늦추는 데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이번 개혁은 숫자 조정에 불과한 모수개혁에 머물렀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한 국민연금 전문가는 “보고서가 드러낸 42%라는 노인 빈곤율 전망은, 더 근본적인 구조개혁 없이는 한국 사회의 노후를 지킬 수 없다는 점을 뼈아프게 보여준다”면서 “고령사회 대비가 미흡하다면 지금의 젊은 세대 역시 ‘가난한 노후’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100세 시대] 60~64세 절반은 無소득·無연금...초고령사회 최대 리스크
- “노인에게 사라지라 강요하는 사회”…국제 전문가들 연령주의에 '경고'
- [100세 시대] “은퇴후 일해도 노령연금 안깎인다”...李정부, 초고령사회 첫 정책
- [100세 시대] 고령층 경제활동인구 1000만 돌파..."73세까지 일하고 싶다"
- [초고령사회 대한민국, 어르신 행복하십니까] ‘어르신의 월급봉투’ 기초연금, ‘소득하위 70%’ 기준 다시 짠다
- [100세 시대] 베이비부머 막내가 77세 되는 2050년, 한국에 ‘재정 쓰나미’ 덮친다
- [100세 시대] 고독사, 50~64세가 가장 많다…그러나 더 위험한 건 75세 이상
- [100세 시대] 2050년 기초연금재정 120조원 폭발…‘세대 갈등 시한폭탄’ 해법 없나
- [100세 시대] 1인 가구가 166만, 25%는 ‘홀몸 노인’...초고령사회 서울의 위험 구조
- [100세 시대] 국민연금 평균 61만원이라지만...최고 318만원, 누군가는 11만원에 노후 버틴다
- 노화로 가장 무서운 건 ‘돈과 건강’…독거·무자녀·미혼, 더 두렵다
- [100세 시대] “20% 감액, 가난한 부부엔 ‘벌금’”...정부, 기초연금 불합리 손질 나선다
- [100세 칼럼] “대통령님, ‘노년 담당관’도 만들어 주세요”
- [100세 칼럼] ‘노인의 날’ 던지는 물음...“우리의 100세는 준비되어 있는가”
- [100세 칼럼] 영화 ‘사람과 고기’가 초고령사회에 던진 물음...“당신은 오늘 누구와 밥을 먹습니까”
- [100세 시대] “여성 노령연금 수급액, 남성의 절반뿐”...‘여성 노인 빈곤율’ 높은 이유 있었다
- [100세 시대] “옛날엔 마음껏 올랐는데...” 초고령사회, 계층이동 사다리가 끊겼다
- “기초연금, 주소 없어도 받을 수 있습니다”…국민연금공단, 거리 어르신 찾아간다
- [100세 시대] 더 일해야 하는 사회...“정년과 연금사이, 삶을 잇는 다리가 필요하다”
- [100세 칼럼] ‘고령운전’ 문제, 면허반납 말고 다른 길은 없을까
- [100세 칼럼] ‘연금개혁’ 갈림길...‘미적립 부채’ 1700조원, 미래 세대의 빚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