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가장 높은 등급...실적 성장세와 안정적인 현금흐름 근거
S&P, "2024~2025년 연간 EBITDA 규모 34~38조원" 전망
'경쟁심화'는 잠재적인 리스크 요인..."MU-MUF로 높은 생산수율 확보"
![SK하이닉스 이천 본사 전경. [사진=SK하이닉스 제공/뉴스퀘스트]](https://cdn.newsquest.co.kr/news/photo/202408/229066_125257_377.jpg)
【뉴스퀘스트=김민우 기자 】 SK하이닉스는 국제신용평가사 S&P(스탠다드앤푸어스)가 자사의 기업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상향 조정했다고 8일 밝혔다. 전망은 '안정적(Stable)'을 유지했다.
이번 상향 조정은 S&P가 SK하이닉스에 부여한 신용등급 중 역대 가장 높은 등급이다.
S&P는 인공지능(AI) 시대 필수 메모리인 HBM(고대역폭메모리) 분야 시장 주도권을 확보한 SK하이닉스의 시장 가치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향후 전망되는 실적 성장세와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근거로 신용등급을 상향했다.
S&P 측은 "SK하이닉스가 신중한 재무정책을 바탕으로 향후 2년간 지속적인 잉여현금흐름을 창출해 차입금 규모를 줄이고 우수한 신용지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S&P의 기본 시나리오 아래에서 SK하이닉스의 2024~2025년 연간 EBITDA(상각전영업이익) 규모는 지난해 5조5000억원(EBITDA 마진 17%) 크게 개선된 34~38조원(EBITDA 마진 56%) 추정된다.
아울러 SK하이닉스가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우수한 경쟁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S&P 측은 "D램과 낸드 시장에서도 견고한 2위를 기록하고 있어 향후 업황이 반등할 경우 실적에도 긍정적"이라며 "수익성이 높은 HBM 매출 비중 확대, 생산효율 개선 및 우호적인 가격에 힘입어 2024~2025년 동안 의미있는 수준의 수익성 개선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경쟁심화는 잠재적인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S&P 측은 "SK하이닉스가 최소 향후 2년 동안 HBM 시장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MR-MUF(대량 칩 접합 몰딩 방식) 패키징 기술을 바탕으로 경쟁사보다 높은 생산수율과 비용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 추형욱 SK E&S 사장 “4대 핵심사업 유기적 연계...합병 시너지 및 가치 제고 극대화할 것”
- 美 정부, SK하이닉스 반도체 생산기지 투자에 최대 1조3000억원 지원
- 최태원 회장 “반도체, 한 치 앞 예측도 어려워...HBM 안주 말고 차세대 수익모델 고민”
- 이규제 SK하이닉스 부사장, "자체 개발 MR-MUF, HBM 선두 확보 1등 공신"
- 장지은 SK하이닉스 부사장 “반도체 기술 혁신 필요한 다양성, 지속 높여갈 것”
- SK하이닉스, 美 메모리 반도체 행사서 'HBM3E 12단', '321단 낸드 샘플' 전시...차세대 기술 비전 소개
- SK하이닉스 '가우스랩스', 반도체 제조서 'AI 가상계측' 솔루션 도입..."시간‧자원 획기적 감축"
- 무디스, SK하이닉스 신용전망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상향..."현금 흐름 개선 및 부채 감소 반영"
- '슈퍼사이클' 삼성전자·SK하이닉스, 'HBM 수요 최적화'로 공급 과잉 우려 불식
- AI 가속기 개발 속도 내는 국내 팹리스 기업들...“제2 엔디비아 꿈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