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V 고전압...기존 6.3V 대비 약 60% 높여
자율주행 반도체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

삼성전기 자율주행 라이다용 MLCC. [사진=삼성전기]
삼성전기 자율주행 라이다용 MLCC. [사진=삼성전기]

【뉴스퀘스트=황재희 기자】삼성전기가 자율주행의 핵심 장치인 라이다 시스템에 탑재되는 MLCC(적층세라믹커패시터)를 개발해 전장(자동차 전기부품) 시장 공략에 나선다.

삼성전기는 자동차 자율주행에 필요한 초소형 고전압 MLCC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MLCC는 자율주행의 핵심 장치 중 하나인 라이다 시스템에 사용된다.

1005크기(가로1.0mm, 세로 0.5mm)의 2.2uF(마이크로패럿) 용량에 10V(볼트) 고전압을 가진 제품으로 기존 6.3V 대비 고전압을 약 60% 높였다.

라이다는 차량 주변 환경 감지, 정밀한 거리 측정 등 안전한 주행을 지원한다. 차량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 변화를 대비해 안전마진 2배 이상의 높은 신뢰성의 고전압 MLCC가 필요하다.

아울러, 실시간으로 주위 사물을 360도로 인식하는 라이다 특성상 mm 단위의 정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도 안정적인 전원 공급과 정확한 신호 전달을 위한 초소형, 고용량 MLCC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MLCC는 전압과 용량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렵다. 고전압을 구현하기 위해 전기를 저장하는 유전체를 두껍게 만들게 되고, 이 경우 쌓을 수 있는 내부 유전층 수가 줄어 용량을 높이기 어렵다.

이를 위해 삼성전기는 첨가제를 독자 개발하고, 유전체 내에 비어있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신공법으로 높은 전압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했다.

삼성전기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한 MLCC는 차량 내 ADAS, 바디, 섀시, 인포테인먼트와 같은 다른 응용처에도 사용이 가능하다"면서 "고부가 제품으로 차별화해 전장 시장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자율주행 기능 고도화와 전기차 시장 확대로 고용량·고신뢰성 MLCC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전망이다.

시장조사기관인 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전장 MLCC 시장은 지난해 4조5000억원에서 2028년 10조원 규모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